AD
[앵커]
폭증한 검사량에 무더위까지 겹치면서 선별진료소 의료진들의 고통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몇 시간씩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시민들의 고충도 만만치 않은데요, 비교적 대기가 적은 선별진료소를 검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등의 분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준명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노원구청에 설치된 선별진료소.
오전부터 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들로 북적입니다.
"2번으로 들어가세요."
하루 천여 건.
4차 대유행이 시작된 뒤 2배 가까이 늘어난 검사량에 의료진은 숨 돌릴 틈이 없습니다.
[박서연 / 노원구보건소 의료진 : (힘들지 않으세요?) 힘들죠. (확진자가)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니까 많은 분이 오셔서 그런 부분이 힘들어요.]
[배해성 / 노원구보건소 감염병관리팀 : 예전보다 2~3배 정도 는 것 같습니다. 날씨도 덥고, 민원인분들도 기다리시니까 힘드시고 가끔 화내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선별진료소 천막 곳곳에 선풍기와 냉풍기가 설치돼 있지만 30도 가까이 오른 무더위를 이겨내기엔 역부족입니다.
하루 12시간 가까이 방역복을 입고 더위와 싸워야 하는 탓에 방역복에 구멍을 내 열을 식히기도 합니다.
[노원구보건소 의료진 : (구멍을 내두신 게 더워서 그러신 건가요?) 네. 너무 더워서….]
검사를 기다리는 시민들도 힘들긴 마찬가지입니다.
일부 선별진료소의 경우 검사자가 몰려 몇 시간씩 기다려야 합니다.
[검사자 : 1시간 정도 된 것 같아요. 더운 건 어쩔 수가 없는 것 같아요.]
무더위 속 기다림에 지쳐 검사를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일도 있습니다.
[안지희 / 노원구보건소 감염병관리팀 : 기다리다가 그냥 포기하고 돌아가시는 분도 계시고. 저희는 그분들도 다 해드리고 싶거든요. 그래서 임시선별검사소를 한 군데 더 설치할 예정이고요.]
집단감염이 발생한 백화점 인근 삼성역 선별진료소의 경우 하루 2천 명 넘는 검사자가 몰렸지만, 일부 지역엔 백 명 안팎이 찾는 선별진료소도 있습니다.
지역과 진료소별로 대기 시간이 천차만별인 만큼 시민들에게 대기자 현황을 실시간으로 안내해주는 게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검사자 : 저는 미리 전화하고 왔는데, 전화해도 오는 사이에 줄이 늘어나고 그러니까 불편한 것 같아요. (실시간 확인) 어플리케이션 같은 게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또, 지자체가 운영하는 임시선별진료소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민간 의료기관에서도 진단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최재욱 /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 민간 의료 기관이나 지역별로 접근성이 좋은 시설에 임시선별진료소를 민간 의료 기관과 협조해서 확대해 나가는 것도 좋은 대안일 수 있지 않나….]
4차 대유행이 진행되면 더 늘어날 검사량.
이를 분산시켜 효율적인 검사를 유도하는 방역 당국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YTN 신준명입니다.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폭증한 검사량에 무더위까지 겹치면서 선별진료소 의료진들의 고통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몇 시간씩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시민들의 고충도 만만치 않은데요, 비교적 대기가 적은 선별진료소를 검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등의 분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준명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노원구청에 설치된 선별진료소.
오전부터 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들로 북적입니다.
"2번으로 들어가세요."
하루 천여 건.
4차 대유행이 시작된 뒤 2배 가까이 늘어난 검사량에 의료진은 숨 돌릴 틈이 없습니다.
[박서연 / 노원구보건소 의료진 : (힘들지 않으세요?) 힘들죠. (확진자가)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니까 많은 분이 오셔서 그런 부분이 힘들어요.]
[배해성 / 노원구보건소 감염병관리팀 : 예전보다 2~3배 정도 는 것 같습니다. 날씨도 덥고, 민원인분들도 기다리시니까 힘드시고 가끔 화내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선별진료소 천막 곳곳에 선풍기와 냉풍기가 설치돼 있지만 30도 가까이 오른 무더위를 이겨내기엔 역부족입니다.
하루 12시간 가까이 방역복을 입고 더위와 싸워야 하는 탓에 방역복에 구멍을 내 열을 식히기도 합니다.
[노원구보건소 의료진 : (구멍을 내두신 게 더워서 그러신 건가요?) 네. 너무 더워서….]
검사를 기다리는 시민들도 힘들긴 마찬가지입니다.
일부 선별진료소의 경우 검사자가 몰려 몇 시간씩 기다려야 합니다.
[검사자 : 1시간 정도 된 것 같아요. 더운 건 어쩔 수가 없는 것 같아요.]
무더위 속 기다림에 지쳐 검사를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일도 있습니다.
[안지희 / 노원구보건소 감염병관리팀 : 기다리다가 그냥 포기하고 돌아가시는 분도 계시고. 저희는 그분들도 다 해드리고 싶거든요. 그래서 임시선별검사소를 한 군데 더 설치할 예정이고요.]
집단감염이 발생한 백화점 인근 삼성역 선별진료소의 경우 하루 2천 명 넘는 검사자가 몰렸지만, 일부 지역엔 백 명 안팎이 찾는 선별진료소도 있습니다.
지역과 진료소별로 대기 시간이 천차만별인 만큼 시민들에게 대기자 현황을 실시간으로 안내해주는 게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검사자 : 저는 미리 전화하고 왔는데, 전화해도 오는 사이에 줄이 늘어나고 그러니까 불편한 것 같아요. (실시간 확인) 어플리케이션 같은 게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또, 지자체가 운영하는 임시선별진료소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민간 의료기관에서도 진단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최재욱 /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 민간 의료 기관이나 지역별로 접근성이 좋은 시설에 임시선별진료소를 민간 의료 기관과 협조해서 확대해 나가는 것도 좋은 대안일 수 있지 않나….]
4차 대유행이 진행되면 더 늘어날 검사량.
이를 분산시켜 효율적인 검사를 유도하는 방역 당국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YTN 신준명입니다.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