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큐] 백신 접종 후 혈전 증세로 사망 첫 사례 발생...주의해야 할 사항은?

[뉴스큐] 백신 접종 후 혈전 증세로 사망 첫 사례 발생...주의해야 할 사항은?

2021.06.17. 오후 4:4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김영수 앵커, 강려원 앵커
■ 출연 : 김 윤 /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확실히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여전한 상황입니다. 오늘 1,40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에 혈전증 판정을 받은 30대 남성이 어제 숨졌습니다. 백신 부작용에 의한 국내 첫 사망 사례입니다.

백신 접종 시 예상되는 부작용과대처 요령을 김 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와 짚어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을 경우에 여러 가지 부작용 나타나는데 혈전증이 가장 우려됐었잖아요.

이번에 혈전증 판정받은 30대 남성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고 나서 증상이 나타난 거죠?

[김윤]
지금 희귀 혈전증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고 나서 보통 4일에서 4주 사이에 생기는 혈전증을 이야기하는데요.

[앵커]
그 범위가 4일에서 4주 사이입니까?

[김윤]
4일에서 4주 사이고 주로 발생하는 시기는 1주에서 2주 정도 사이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앵커]
시기도 잘 알아야겠네요.

[김윤]
그러니까 백신접종을 맞고 나서 처음에 두통이 있거나 이럴 수 있지만 그게 지나가고 난 다음에 이제 4일 또는 일주일 정도가 경과한 후에 두통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약을 먹어도 가시지 않거나 점점 심해지거나 그 정도가 굉장히 심각해서 그러니까 뇌에 출혈이 생겨서 생기는 두통을 망치로 머리를 얻어맞은 것처럼 멍하게 아픈, 굉장히 심각한...

[앵커]
그럼 머릿속에서 심한 두통이 나타나는 게 뇌출혈 증상 중에 하나입니까?

[김윤]
그렇습니다. 뇌출혈 때문에 생기는 증상일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 이 30대 남성의 경우에도 5월 27일에 접종을 했고요. 9일 후에 심한 두통과 구토가 나타나서 의원급 의료기관을 찾은 것으로 알려져 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에서 이렇게 심한 두통이 있는데도 적절한 조치가 취해진 게 아니지 않느냐, 이런 의문도 있습니다.

[김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인해서 생긴 혈전증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한 100만 명당 8명에서 10명쯤 생기는데 우리나라는 지금 900만 명 넘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해서 딱 두 건의 희귀혈전증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100만 명당으로 치면 한 0.2명 정도여서 외국에 비해서 굉장히 드문 거죠. 그런데 두통이라고 하는 게 일반적으로 흔히 있을 수 있는 그런 증상이라서 두통만으로 혈전증을 의심하기는 쉽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앵커]
그리고 숨진 환자는 상급병원에서 정밀검사 받았습니다. 숨지기 전에 정밀검사를 받았고 혈소판 감소 혈전이 확인됐어요. 그러면 보통 이렇게 확인되면 어떤 치료에 들어가게 됩니까?

[김윤]
혈액 응고 때문에 혈전증이 생기는 거기 때문에 혈액 응고를 막아주는 항응고제를 쓰게 됩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쓰는 항응고제 중에 헤파린이라고 하는 약제가 있는데. 이것을 쓰면 안 되고 다른 종류의 약제를 써야 되는데 왜냐하면 이게 헤파린에 대한 항체가 몸 안에 생기면서 그것 때문에 혈전증이 생기는 것이라 헤파린 말고 다른 항응고제를 쓰도록 되어 있습니다.

[앵커]
그럼 중환자실에서 그런 관련된 조치를 받긴 받은 거죠?

[김윤]
아마 그랬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앵커]
그런데 치료를 받았는데도 결국은 숨을 거둔 겁니까?

[김윤]
그러니까 아마 뇌출혈이나 이런 게 굉장히 심각했을 가능성. 그러니까 양이 많고 또는 부위가 좋지 않았거나 이래서 이게 두 번째로 희귀혈전증이 발생한 사례인데 첫 번째 사례와 사실은 경과는 비슷합니다.

그러니까 백신을 맞고 나서 한 2주쯤 있다가 두통이 생겼고 처음에 두통이 있었을 때는 가벼운 치료를 받았는데 더 심해져서 경련이 발생했는데 그것도 한 3일 뒤쯤 발생했고, 이번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그래서 이제 치료를 받았는데 첫 번째 케이스는 회복이 됐으나 이 케이스는 이제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게 된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 혈전증, 앞서서 말씀하신 처음 나타난 사례와 이번 사례를 봤을 때 차이가 있다면 어떤 점에서 있었을까요?

[김윤]
임상적인 경과는 지금 보도된 것만으로는 큰 차이가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두 번째 사례에서 두통이나 구토가 발생했을 때 만약에 그걸 이게 백신을 접종하고 9일 이후에 생긴 것이기 때문에 그냥 통상적인 두통이나 또는 백신의 부작용으로 생기는 그냥 가벼운 두통이 아니라 혈전증과 관련된 두통이라고 의심했으면 혈액검사를 해서 혈소판이 감소했는지 여부를 확인했으면 아마 좀 더 조기에 진단했을 가능성은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의원급 병원에서도 그런 혈액검사를 통해서 혈전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까?

[김윤]
의원급에서도 혈액검사를 하니까요.

[앵커]
혈소판 감소 여부를 확인하면 된다. 알겠습니다. 그런데 앞으로가 또 중요합니다. 백신접종 후에 보통은 맞은 사람들한테 물어보니까요. 두통이 좀 있고 또 가끔 고열, 오한 이런 증상들이 있더라고요.

그런데 며칠 뒤면 보통 다 해소가 되는데 두통, 혈전증이 나타나는 분들은 이 두통이 계속 이어진다는 거죠?

[김윤]
우리가 보통 백신접종을 맞고 나면 맞고 난 다음의 직후, 다음 날이나 2~3일 사이에 대개 두통이 생기고 며칠 있다가 사라지는 게 보통인데 이것은 뒤늦게 생기는. 그러니까 4일 이후, 대개는 일주일 이후에 생기는 두통 그다음에 머리에 혈전이 가면 두통이나 구토나 또는 시야에 이상이 생기는,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생기게 되고 이게 폐에 가면 호흡곤란이나 흉통이 생깁니다.

[앵커]
가슴이 아픈 겁니까?

[김윤]
네. 그다음에 내장에 있는 정맥에서 혈전이 생겨서 어딘가를 막으면 복통이 생기게 되죠.

[앵커]
복통도 올 수 있군요.

[김윤]
그다음에 또 혈소판이 감소되면 우리 몸에 혈액 응고가 잘 안 일어나기 때문에 몸에 조그만 출혈반점들이 많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딪히면 쉽게 멍이 들기도 하고요. [앵커] 몸에 반점 나는 것도 혈소판 감소 증상입니까?

[김윤]
네. 혈소판 감소 때문에 혈액응고에 장애가 생기면 보통 우리가 혈소판에 의해서 혈액응고가 돼서 출혈이 안 일어나야 되는데 출혈이 몸의 여러 부위에서 일어나면서 조그만 반점처럼 출혈이 생기기도 합니다.

[앵커]
그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심을 해 봐야 되는 상황이 되겠네요, 백신접종 후에. 그러면 의료기관에서도 이런 내용들을 알고 대처를 해야 되는데. 의료기관에도 안내책자가 나간다거나 방역당국에서 그런 조치를 취해놓은 게 있습니까?

[김윤]
방역당국에서 희귀혈전증 의심사례가 생길 경우 의료기관에서 그것을 의심하고 진단하도록 하기 위해서 의료진들에게 교육을 하거나 책자를 배포하거나 한 상태인데요.

앞서서 말씀드렸지만 사실 워낙 드물게 발생하는 혈전증이고 그에 반해서 증상으로 나타난 두통이나 구토나 흉통이나 이런 것들은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라서 둘 사이를 쉽게 증상만으로 감별하기 쉽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임상적 경과를 보면서 시간이 지나도 한 2~3일이 지나도 증상이 더 좋아지지 않거나 증상이 더 악화되고 또 새로운 증상이 생겨나고 또 뇌출혈이 생기면서 신경학적인 이상. 어디가 마비되거나 감각이 둔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거나 이런 증상이 생기면 혈전증을 더 강력하게 의심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에 첫 사례가 나와서 상당히 걱정하는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제한 연령을 좀 더 높여야 되는 게 아니냐 이런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거든요. 어떻게 보세요?

[김윤]
지난번에 방역당국이 그러니까 30대 이상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겠다고 결정했을 때 그때 백신을 접종했을 때 코로나 감염을 막아서 생기는 이득과 부작용, 혈전이 생기거나 아나필락시스 같은 것들이 생겨서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얻을 수 있는 해를 비교해서 30대에서도 이득이 더 많아서 접종하겠다고 결정을 하긴 했는데. 위해, 부작용의 크기와 이득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그게 한 1.3~1.7배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너무 차이가 작기 때문에 사실은 30대나 40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기보다는 지금 백신에 여유가 있으니까 다른 백신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코로나19 백신 많은 분들이 맞기 시작했는데요. 증상별 대체 요령을 숙지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할과 교수님과 이야기 나누어봤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