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대도서관 유튜브
AD
유명 유튜버 대도서관이 직원들에게 갑질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 직접 해명하고 사과했다.
대도서관은 19일 자신의 방송에서 "직원 7명이 회사를 그만둔 것은 팩트"라며 "밤새 잠도 안 자고 생각한 끝에 내가 잘못했다는 걸 알게 됐다. 부끄러웠고, 반성한다"고 했다.
대도서관은 "오늘보다 저 스스로를 되돌아본 날이 없는 것 같다"며 "그만둔 직원 7명 중 연락이 닿은 4명과 회사에 남은 5명에게도 진심으로 사과의 말을 전했다. 퇴직한 7명 중 3명은 연락이 안 돼 이후에라도 진심으로 사과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직원들에게) 너무 압박감을 준 것 같아 부끄럽고 미안하다고 이야기했다"며 "남아 있는 직원들에게도 혹시 그런 일이 있었는지 물어봤고, 만약 있었다면 다신 그런 일이 없을 거라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독단적이고 예민한 성격이 있는데, 그런 부분들이 (직원들에게) 표현된 것 같아 너무 죄송하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직원들에게 폭언을 한 건 사실이다. 그 부분에 대해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 경영자로서 자질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대도서관은 "조금 더 노력하고 이런 부분이 없도록 세심하게 사람을 챙겨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대도서관은 지난 18일 이번 사과 영상에 앞서 해명 생방송을 진행했는데, 되려 직원들을 탓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키웠다.
대도서관은 최근 기업 리뷰 공유 커뮤니티인 잡플래닛에 올라온 '엉클대도'에 대한 기업 리뷰로 인해 갑질 논란에 휩싸였다. 엉클대도는 대도서관이 운영하는 기업이다.
해당 기업 리뷰에는 "대표 한 사람 개인의 감정에 따라 업무가 쥐락펴락 좌지우지되고 업무에 대한 피드백이 아닌 한 개인에 대한 인격 모독과 언어 폭력이 도를 지나친다", "회의할 경우 자신의 의견과 다르면 무조건 그 의견을 잘못된 의견, 그 의견을 제시한 사람을 잘못된 생각을 가진 무능력한 직원으로 낙인찍는다" 등 대도서관의 언어폭력·갑질에 대한 비판 글이 줄이었다. 또 대도서관의 갑질로 인해 직원 여러 명이 단체 퇴사를 했다는 글도 적혀 있었다.
한편 이번 갑질 사건 관련 1차 해명, 2차 사과 영상은 모두 비공개 처리됐으며, 3차 사과 영상만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 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도서관은 19일 자신의 방송에서 "직원 7명이 회사를 그만둔 것은 팩트"라며 "밤새 잠도 안 자고 생각한 끝에 내가 잘못했다는 걸 알게 됐다. 부끄러웠고, 반성한다"고 했다.
대도서관은 "오늘보다 저 스스로를 되돌아본 날이 없는 것 같다"며 "그만둔 직원 7명 중 연락이 닿은 4명과 회사에 남은 5명에게도 진심으로 사과의 말을 전했다. 퇴직한 7명 중 3명은 연락이 안 돼 이후에라도 진심으로 사과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직원들에게) 너무 압박감을 준 것 같아 부끄럽고 미안하다고 이야기했다"며 "남아 있는 직원들에게도 혹시 그런 일이 있었는지 물어봤고, 만약 있었다면 다신 그런 일이 없을 거라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독단적이고 예민한 성격이 있는데, 그런 부분들이 (직원들에게) 표현된 것 같아 너무 죄송하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직원들에게 폭언을 한 건 사실이다. 그 부분에 대해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 경영자로서 자질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대도서관은 "조금 더 노력하고 이런 부분이 없도록 세심하게 사람을 챙겨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대도서관은 지난 18일 이번 사과 영상에 앞서 해명 생방송을 진행했는데, 되려 직원들을 탓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키웠다.
대도서관은 최근 기업 리뷰 공유 커뮤니티인 잡플래닛에 올라온 '엉클대도'에 대한 기업 리뷰로 인해 갑질 논란에 휩싸였다. 엉클대도는 대도서관이 운영하는 기업이다.
해당 기업 리뷰에는 "대표 한 사람 개인의 감정에 따라 업무가 쥐락펴락 좌지우지되고 업무에 대한 피드백이 아닌 한 개인에 대한 인격 모독과 언어 폭력이 도를 지나친다", "회의할 경우 자신의 의견과 다르면 무조건 그 의견을 잘못된 의견, 그 의견을 제시한 사람을 잘못된 생각을 가진 무능력한 직원으로 낙인찍는다" 등 대도서관의 언어폭력·갑질에 대한 비판 글이 줄이었다. 또 대도서관의 갑질로 인해 직원 여러 명이 단체 퇴사를 했다는 글도 적혀 있었다.
한편 이번 갑질 사건 관련 1차 해명, 2차 사과 영상은 모두 비공개 처리됐으며, 3차 사과 영상만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 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