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번 등교개학 연기 끝에 교실 문 열린다

네 번 등교개학 연기 끝에 교실 문 열린다

2020.05.04. 오후 10:4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최영주 앵커
■ 출연 : 이종근 / 시사평론가, 최진봉 /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오는 13일 우선 고3부터 순차적으로 등교수업이 재개됩니다. 학교 생활도 코로나19 이전과는 확연히 다를 것으로 보이는데요.

두 분과 함께 관련 내용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 이종근 시사평론가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코로나19 확산으로 네 차례나 개학이 연기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두 달 반 만에 마침내 등교개학을 하게 됐습니다. 코로나19가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이런 판단 때문일까요?

[최진봉]
그렇습니다.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게 첫 번째 이유인 것 같고요. 또 하나는 5월 6일부터 사실 생활 방역으로 들어가지 않습니까?

그것과 발맞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또 하나는 고3 같은 경우는 입시 관련해서 더 이상 개학을 미루는 것이 상당히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면 온라인 수업을 계속할 수 있지만 입시 준비라든지 또 수능 준비라든지 이런 준비를 보면 이게 입시일정과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계속 연기를 하는 것은 상당히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어요.

또 학생들 입장에서도 수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계속 온라인 수업만 하는 것은 본인들한테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이런 압박들이 결국은 등교수업을 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까지 왔다고 보여지고요.

일단은 방역당국의 조치가 잘돼서 어느 정도까지 통제가 가능한 범위 안에 들어왔다는 점이 가장 주효하게 작용했을 것이고. 두 번째는 수능이나 학교수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 이런 부분들의 압박으로 진행되면서 결국은 등교 개학을 하기로 결정한 게 아닌가 이렇게 보여집니다.

[앵커]
말씀하셨듯이 고3생들부터 오는 13일부터 등교 개학이 시작되는데 교원이나 학부모들의 설문조사도 고려가 된 것 같아요.

[이종근]
그렇습니다. 이런 결정을 하게 된 가장 큰 건 어찌됐든 합의하는 과정, 사회적 컨센서스를 마련하는 과정을 굉장히 오랫동안 해 왔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단 교원하고 학부모들한테도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또 보니까 초등학교 교장들한테도 따로 대상으로 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 같습니다.

설문조사 내용을 좀 보면 어쨌든 약 한 77%의 교사와 85%의 학부모가 고3, 중3생을 우선 등교시키자 하는 것. 그러니까 우선하고 그다음에 시기별로 하자. 이런 의견이 굉장히 많았고 또 시기로서는 생활방역, 이번에 생활방역이 결정되면 1, 2주 내로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라는 의견이 교사에서는 57%, 학부모에서는 68%가 나왔습니다.

또 마지막으로 교사의 83%는 학교 학년별로 단계적으로 하면 어떠냐는 의견을 냈어요. 그러니까 이런 여론조사의 결과들을 다 종합해서 오늘 결론을 낸 게 아닌가 싶습니다.

[앵커]
두 달 넘게 미뤄졌던 초중고교의 등교수업 일정 그리고 방식. 유은혜 부총리의 설명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등교 시기를 두고도 방역당국의 고심이 무척 컸을 것 같은데 일단 황금연휴 기간이 끝난 후 14일, 그러니까 잠복기를 좀 고려한 거겠죠.

[최진봉]
그렇습니다. 1차, 그러니까 고등학교 3학년은 사실 예배등교라고 얘기하고 있고요. 1차가 5월 20일데 14일 지난 뒤예요. 그러니까 5월 5일까지가 연휴이지 않습니까? 내일까지가 연휴가 되는데 그러다 보니까 연휴가 끝나고 나서 14일, 잠복기를 보통 14일로 보기 때문에 14일 이내에 또 다른 큰 무슨 집단방역이 일어나거나 이랬을 경우에는 이걸 어느 정도 봐야 하는 상황이 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교육당국에서는 14일 동안 특별히 집단방역이 일어나지 않으면 어느 정도 통제가 됐다고 보고 개학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이다라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금 말씀드린 것처럼 14일 안에 혹시나 다른 어떤 특별한 경우가 발생한다고 하면 지금의 발표도 어느 정도 바뀔 가능성은 저는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14일 동안 특별히 집단방역이 일어나지 않고 지금처럼 10여 명 정도에서 확진자가 계속 유지되는 상황이라고 하면 그것도 외부에서 들어오는, 외국에서 입국하는 분들이 주로 차지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고 하면 14일 이후에는 잠복기도 끝나기 때문에 안전하게 등교를 해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아마 생각한 것으로 그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고3 학생은 13일에 등교를 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총 세 차례에 걸쳐서 나눠서 개학을 하게 되는 거죠? 자세히 짚어주시죠.

[이종근]
그렇습니다. 13일부터 등교하게 되는 학년층은 고3 학생만은 아닙니다. 읍면동에 소재한 아주 작은 규모의 소규모 초등학교나 중학교도 1463곳에 해당되는 곳은 학교장이나 혹은 지역 교육청에서 판단에 따라서 1463곳도 함께 13일부터 개학이 됩니다.

그다음에 그다음 주 20일은 고2, 중3, 초등학교 저학년 1, 2학년. 27일은 고1, 중2, 초등학교 3, 4학년. 마지막으로 6월 1일은 중학교 1학년생과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생으로 이렇게 네 단계에 걸쳐서 단계별로 개학이 결정됐습니다.

[앵커]
그런데 보니까 고등학교는 고학년부터 개학을 하고 또 초등학교는 저학년부터 개학을 하네요. 이건 어떤 점이 고려된 건가요?

[이종근]
그렇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부분은 사실 질병관리본부하고 약간 좀 의견이 달라요. 정은경 본부장은 오늘 발표에서 저학년을 좀 더 늦게 하는 것이 어떠냐. 이렇게 의견을 따로 냈는데 이유는 이겁니다.

지금 초등학교 저학년은 사실상 원격수업을 받은 것이 별 의미가 없어요. 왜냐하면 이미 초등학교 저학년이 학교에 간다는 의미가 어떤 지식을 쌓는다는 것이 아니라 처음으로 공동체로서 하나의 사회화하는 과정을 배우는 것이거든요.

선생님을 만나고 친구들과 함께 수업을 받는다는 그 공간적인 의미가 굉장히 큰 것이기 때문에 더군다나 원격수업을 하더라도 스스로 그걸 받을 수 있는 어떤 그런 훈련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그저 어머니가 옆에서 계속 챙겨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거든요. 한 가지 더 고려가 된다면 긴급돌봄서비스가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는 거예요.

이미 그건 무슨 뜻이냐 하면 초등학교 저학년들은 이미 긴급돌봄서비스로 인해서 상당히 학교에 등교한 것과 같은 마찬가지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특별히 큰 어떤 확진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것들이 고려돼서 저학년부터 하자라고 지금 결정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아무래도 저학년 학생들은 혼자서 수업을 따라가는 게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이런 점도 고려된 것 같습니다. 지금 코로나19 확산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등교 이후에도 아직 안심해서는 안 된다라는 게 바로 방역당국의 입장입니다.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일단 등교 수업은 실시하지만 과연 학교에서의 생활방역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 부분이 관건인 것 같습니다. 일단 방역당국이 가장 강조하는 건 아프면 일단 학교 가지 말라, 이거잖아요.

[최진봉]
그렇습니다. 아프면 학교 오면 안 된다는 거죠. 그래서 결국은 방역당국이 가장 우려하는 게 뭐냐 하면 1명이라도 만약에 확진자나 감염자가 오게 되면 학교 전체가 다시 문을 닫아야 해요. 지금 방역당국은 어떻게 얘기하고 있냐 하면 혹시나 한 명이라도 확진자가 생기거나 아니면 진단을 통해서 확진으로 발견되면 그 학교 전체가 다시 온라인 수업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니까 중요한 것은 아프거나 아니면 발열이 있거나 아니면 구토 증상이 있거나 이러면 안 와야 된다는 거예요. 학교를 나오지 말라는 거잖아요. 우리나라가 외국은 사실은 아프면 대체적으로 학교를 안 가는 그런 문화가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부모님들이 그런 게 좀 있잖아요.

아파도 웬만하면 학교 가라고 하는 그런 분위기가 있거든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해서는 절대로 그러시면 안 됩니다. 열이 나거나 조금이라도 이상증상이 있을 때는 반드시 학교에 연락하고 그다음에 진단도 받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지 않고서는 혹시나 학교라는 곳이 공동생활하기 때문에 1명만 감염이 되더라도 학교 전체의 위험을 전파할 수 있는 그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습니까?

그런 점에서 학교 당국은 또 교육 당국은 어떤 증상이 있든 열이 나거나 아니면 구토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19와 관련된 증상이 있으면 즉각적으로 학교를 오지 말고 학교 당국에 연락해서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학생들이 비록 학교를 간다고 하더라도 코로나19 이전의 학교의 생활과는 무척 달라진 모습일 텐데 과연 어떻게 달라질까요?

[이종근]
엄청나게 많은 것이 풍경이 달라질 것 같아요.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학교에서 추억이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아닙니까? 그래서 짝꿍이라는 어휘가 우리들한테 가져다주는 감정적 어감이 있는데 짝꿍이 없어집니다. 즉 지그재그로 앉히는 형태.

그런 것부터 시작해서 점심 급식 때 대화 금지라든지 혹은 음악 시간에 노래를 부르거나 혹은 왜 금관악기, 관악기라든지 입을 통해서 침이 튈 수 있는 그런 악기의 사용을 금지한다거나 또 체육 같은 것도 사실 밀접접촉을 할 수 있는 그런 운동은 피한다거나 이 모든 것들이 하나씩하나씩 학교의 재량으로써 아마도 수업시간에 다른 풍경으로 전달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리고 또 학교 안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거죠?

[이종근]
그렇죠. 쉬는 시간에도 착용하게 하고요. 또 수업도 사실 반별로 예를 들어서 1, 2, 3반은 오전, 4, 5, 6반은 오후 한다든지 학급별로 오전, 오후가 나뉜다든지 이 모든 것들이 사실 다 다르게 운영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 정부 발표에 학부모들은 복잡한 심경인 것 같습니다. 반가움과 동시에 여전히 걱정된다. 이런 우려의 반응도 동시에 나오고 있는데요. 학부모들의 목소리 직접 들어보시죠.

학부모들도 걱정. 여러 가지 교차하는 심정일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등교 수업 시에 염려하는 것은 아무래도 싱가포르 사례가 아닐까 싶은데 만약에 등교 수업을 했는데 확진자가 나오면 어떻게 되는 겁니까?

[최진봉]
1차적으로 이렇습니다.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 또 이런 증상을 보이는 학생이 만약에 발견이 되면 학교에 있는 임시관찰실에 대기를 시킵니다. 그리고 바로 의료기관이나 선별진료소로 이동을 해서, 그러니까 예를 들면 응급차나 구급차가 와서 태우고 가서 진단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1차적으로 다른 데 자가격리하는 게 아니고요. 바로 의료기관이나 선별진료소로 이동해서 진단을 받게 되어 있고요. 만약에 확진환자가 나오게 되면 그 학교나 교직원들은 자가격리를 모두 다 하게 되어 있고요. 원격수업으로 전환이 됩니다.

지금은 대면수업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만약에 그 학교에 1명이라도 학생이든 교직원이든 확진자가 나오게 되면 모두 다 원격수업으로 전환되고 휴업이나 휴교도 고려한다고 합니다. 결국은 중요한 건 발열증상이나 의심증상이 있으면 휴교한다는 게 첫 번째고요. 두 번째는 확진자가 나오는 학교는 모두 다 다시 원격수업으로 되돌아간다는 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비록 등교수업은 시작됐지만 학교에서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해서 이런 코로나19 확산이 재발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