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전·월세난으로 오피스텔 거주자가 늘고 있는데요.
오피스텔은 상대적으로 관리비도 비싸고 문제가 생겨도 마땅한 법이 없어 분쟁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수도 요금 때문에 관리사무소와 갈등을 겪고 있지만 도움을 받을 곳이 없다는 오피스텔 세입자를 만나봤습니다.
이광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40대 조영철 씨.
10년 동안 오피스텔 생활을 해 온 조 씨는 지난 7월 이곳으로 이사했는데요.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제가 여태껏 살면서 기록을 세운 거예요. 최고 기록.]
과연, 조 씨가 세웠다는 최고 기록은 무엇일까?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첫 달 고지서를 봤는데 387킬로(와트) 그러니까 이 정도면 온종일 에어컨을 한 달 내내 틀어서 나오는 수치거든요.]
8월 관리비 고지서입니다.
이사 온 후 17일가량만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전기 요금이 평소보다 두 배가 넘게 나왔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았지만 폭염 때문이라는 관리사무소의 설명에 다음 달 고지서를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전기 갖고 태클을 걸었더니 전기는 좀 떨어졌어요. 전기는 좀 떨어졌는데. 수도가 제가 놀라버렸죠. 수도가. (25톤을 혼자 쓰셨네요.)]
지난 한 달 동안 조 씨 혼자 사용한 수도요금은 무려 47,430원.
환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한 명의 월평균 수도량은 8.5㎥.
조 씨의 사용량은 약 3배에 달합니다.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이거 뭔가 잘못됐다 나는 이걸 믿을 수가 없는 고지서다 그랬더니 (관리사무소에서) 이제 처음에는 계량기 핑계를 대시더라고요 계량기가 불량인지 저기 진짜 소장님 양심이 불량인지 내가 파헤쳐야 할 것 아니냐 (그랬더니).]
물러서지 않는 조 씨에게 관리사무소장은 어이없는 제안을 합니다.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앞으로 몇 개월 한 6개월이나 뭐 동안은 여기 전기하고 수도(요금)를 0으로 해주고 전기(요금)도 확 줄여준다.]
그리고 한 달 뒤,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 본 조 씨는 두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관리사무소장의 말대로 수도 사용량과 요금, 모두 0으로 청구된 겁니다.
취재진은 관리사무소장에게 직접 수도요금 0원의 의혹에 대해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오피스텔 관리소장 : (조 씨가 이사를 오고 나서) 계량기가 망가졌는지 계량기가 엄청 돌아가는 거예요 계량기의 문제다? 계량기가 망가졌으면 뭐 25ton이 나가거나 기계가 하는 거니까 돌아갈 수가 있지.]
수도요금 0원은 잘못 부과된 25㎥에 대한 요금을 감면해주기 위한 것이었다며 이해할 수 없는 계산법을 설명했습니다.
[오피스텔 관리소장 : 5톤씩 감해 가지고 5톤씩만 부과시키고 그러면 0으로 다섯 달을 해주면 이걸 까주는 거 아니야. 그렇죠?]
조 씨는 답답한 심정으로 구청과 시청에도 문의해봤지만 권한 밖의 일이라며 관리사무실과 소송을 하든 알아서 해결하라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그 이유를 설명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공무원은. 그냥 그렇데요. 이게 나라입니까.]
YTN 이광연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전·월세난으로 오피스텔 거주자가 늘고 있는데요.
오피스텔은 상대적으로 관리비도 비싸고 문제가 생겨도 마땅한 법이 없어 분쟁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수도 요금 때문에 관리사무소와 갈등을 겪고 있지만 도움을 받을 곳이 없다는 오피스텔 세입자를 만나봤습니다.
이광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40대 조영철 씨.
10년 동안 오피스텔 생활을 해 온 조 씨는 지난 7월 이곳으로 이사했는데요.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제가 여태껏 살면서 기록을 세운 거예요. 최고 기록.]
과연, 조 씨가 세웠다는 최고 기록은 무엇일까?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첫 달 고지서를 봤는데 387킬로(와트) 그러니까 이 정도면 온종일 에어컨을 한 달 내내 틀어서 나오는 수치거든요.]
8월 관리비 고지서입니다.
이사 온 후 17일가량만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전기 요금이 평소보다 두 배가 넘게 나왔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았지만 폭염 때문이라는 관리사무소의 설명에 다음 달 고지서를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전기 갖고 태클을 걸었더니 전기는 좀 떨어졌어요. 전기는 좀 떨어졌는데. 수도가 제가 놀라버렸죠. 수도가. (25톤을 혼자 쓰셨네요.)]
지난 한 달 동안 조 씨 혼자 사용한 수도요금은 무려 47,430원.
환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한 명의 월평균 수도량은 8.5㎥.
조 씨의 사용량은 약 3배에 달합니다.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이거 뭔가 잘못됐다 나는 이걸 믿을 수가 없는 고지서다 그랬더니 (관리사무소에서) 이제 처음에는 계량기 핑계를 대시더라고요 계량기가 불량인지 저기 진짜 소장님 양심이 불량인지 내가 파헤쳐야 할 것 아니냐 (그랬더니).]
물러서지 않는 조 씨에게 관리사무소장은 어이없는 제안을 합니다.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앞으로 몇 개월 한 6개월이나 뭐 동안은 여기 전기하고 수도(요금)를 0으로 해주고 전기(요금)도 확 줄여준다.]
그리고 한 달 뒤,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 본 조 씨는 두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관리사무소장의 말대로 수도 사용량과 요금, 모두 0으로 청구된 겁니다.
취재진은 관리사무소장에게 직접 수도요금 0원의 의혹에 대해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오피스텔 관리소장 : (조 씨가 이사를 오고 나서) 계량기가 망가졌는지 계량기가 엄청 돌아가는 거예요 계량기의 문제다? 계량기가 망가졌으면 뭐 25ton이 나가거나 기계가 하는 거니까 돌아갈 수가 있지.]
수도요금 0원은 잘못 부과된 25㎥에 대한 요금을 감면해주기 위한 것이었다며 이해할 수 없는 계산법을 설명했습니다.
[오피스텔 관리소장 : 5톤씩 감해 가지고 5톤씩만 부과시키고 그러면 0으로 다섯 달을 해주면 이걸 까주는 거 아니야. 그렇죠?]
조 씨는 답답한 심정으로 구청과 시청에도 문의해봤지만 권한 밖의 일이라며 관리사무실과 소송을 하든 알아서 해결하라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조영철 / 오피스텔 세입자 : 그 이유를 설명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공무원은. 그냥 그렇데요. 이게 나라입니까.]
YTN 이광연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