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청년층 취업준비생의 절반 이상이 공무원시험과 같은 전문직 준비를 이어가는 이른바 '공시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시족은 '각종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최근 신조어인데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세~24세 청년층 취업준비자 가운데 시험을 준비하고 있거나 했던 경험이 있는 경우가 48%, 25세~29세의 경우에는 절반이 넘는 54%에 달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는 응답이 46%로 가장 많았고, 교원 임용시험이 15%, 회계사 등 전문자격시험이 12%, 7급 공무원 시험이 12%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런 공시족의 급증은 취업의 어려움은 물론 취업 후에도 불안정한 고용 불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를 잘 살펴볼 수 있는 또 다른 보고서가 있습니다.
20세~34세 대졸자 만 8천여 명 가운데 72%가 첫 직장을 갖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 중 대기업 정규직에 취업한 숫자는 10%에 불과했습니다.
이런 고용불안은 중도 퇴사 비중에서 확연히 드러납니다.
첫 직장 퇴사율은 대기업 정규직이 12%, 중소기업 정규직은 28%였던 반면, 대기업 비정규직은 29%,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퇴사율은 무려 41%에 달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공시족은 '각종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최근 신조어인데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세~24세 청년층 취업준비자 가운데 시험을 준비하고 있거나 했던 경험이 있는 경우가 48%, 25세~29세의 경우에는 절반이 넘는 54%에 달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는 응답이 46%로 가장 많았고, 교원 임용시험이 15%, 회계사 등 전문자격시험이 12%, 7급 공무원 시험이 12%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런 공시족의 급증은 취업의 어려움은 물론 취업 후에도 불안정한 고용 불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를 잘 살펴볼 수 있는 또 다른 보고서가 있습니다.
20세~34세 대졸자 만 8천여 명 가운데 72%가 첫 직장을 갖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 중 대기업 정규직에 취업한 숫자는 10%에 불과했습니다.
이런 고용불안은 중도 퇴사 비중에서 확연히 드러납니다.
첫 직장 퇴사율은 대기업 정규직이 12%, 중소기업 정규직은 28%였던 반면, 대기업 비정규직은 29%, 중소기업 비정규직의 퇴사율은 무려 41%에 달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