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 : 연합뉴스
AD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삼중규제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지 약 한 달이 지나는 동안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0% 가까이 감소하며 시장이 뚜렷한 위축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 10·15 대책 시행일인 지난달 16일부터 지난 11일까지 27일간 거래량은 2천320건으로 직전 27일 1만254건과 비교해 77.4% 줄었습니다.
10·15 대책 시행으로 강화된 대출규제에 더해 토지거래허가구역까지 적용해 갭투자를 차단하면서 매수와 매도 수요 모두 크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자치구별로는 영등포구가 93.9%, 광진구가 90% 감소하는 등 이전까지 갭투자 수요 집중으로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한강벨트 권역뿐 아니라 전 지역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경기도에서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신규 지정된 자치구들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성남시 분당구가 86.6% 감소하는 등 규제 대상지역 모두 거래량 감소폭이 컸습니다.
반면 이전에 이미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강남 3구와 용산구는 거래량 변동이 크지 않았는데 송파구의 거래량 감소율은 2.9%에 불과했고 서초구도 7% 줄어드는 등 서울의 다른 지역과 비교해 감소폭이 크게 낮았습니다.
현금 보유량이 많은 고소득자나 자산가 등이 '똘똘한 한 채'를 보유하고자 진입하는 시장이어서 수요자들이 대출규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금액도 크게 줄었는데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금액은 10·15 대책 시행 이전 27일간 약 12조3천883억 원이었다가 이후 3조1천757억 원으로 74.4% 감소했습니다.
다만 평균 거래가격은 대책 시행 이전에 12억814만 원과 비교해 대책 시행 이후가 13억6천882만 원으로 높았습니다.
매물이 급감하고 수요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가격을 내리지 않은 소수 매물이 신고가로 거래됐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 10·15 대책 시행일인 지난달 16일부터 지난 11일까지 27일간 거래량은 2천320건으로 직전 27일 1만254건과 비교해 77.4% 줄었습니다.
10·15 대책 시행으로 강화된 대출규제에 더해 토지거래허가구역까지 적용해 갭투자를 차단하면서 매수와 매도 수요 모두 크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자치구별로는 영등포구가 93.9%, 광진구가 90% 감소하는 등 이전까지 갭투자 수요 집중으로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한강벨트 권역뿐 아니라 전 지역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경기도에서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신규 지정된 자치구들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성남시 분당구가 86.6% 감소하는 등 규제 대상지역 모두 거래량 감소폭이 컸습니다.
반면 이전에 이미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강남 3구와 용산구는 거래량 변동이 크지 않았는데 송파구의 거래량 감소율은 2.9%에 불과했고 서초구도 7% 줄어드는 등 서울의 다른 지역과 비교해 감소폭이 크게 낮았습니다.
현금 보유량이 많은 고소득자나 자산가 등이 '똘똘한 한 채'를 보유하고자 진입하는 시장이어서 수요자들이 대출규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금액도 크게 줄었는데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금액은 10·15 대책 시행 이전 27일간 약 12조3천883억 원이었다가 이후 3조1천757억 원으로 74.4% 감소했습니다.
다만 평균 거래가격은 대책 시행 이전에 12억814만 원과 비교해 대책 시행 이후가 13억6천882만 원으로 높았습니다.
매물이 급감하고 수요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가격을 내리지 않은 소수 매물이 신고가로 거래됐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