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유튜브 '제로비'
AD
유튜버 제로비는 지난 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포카칩엔 감자가 몇 개나 들어갈까"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제로비는 각종 음식의 재료 원가와 판매 가격을 비교하는 콘텐츠를 올려 인기를 얻은 유튜버로 구독자 약 38만 명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질소를 사면 감자칩을 준다는 걸로 유명한 포카칩에 감자 몇 개가 들어갈 지 알아보겠다"라며 실험 과정을 공개했다.
먼저 포카칩에서 가장 지름이 큰 감자칩을 골라 이와 지름이 비슷한 크기의 감자를 사고, 이를 껍질째로 얇게 썰었다. 그리고 물에 감자를 담가 감자의 전분을 제거한 뒤, 감자를 가볍게 데쳐 가볍고 바싹하게 튀길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감자 총 3개(998g)로 감자칩 324g을 만들 수 있었는데, 포카칩 한 봉지가 66g임을 감안하면 감자 3개로 약 5봉지의 감자칩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포카칩 한 개에 감자 0.6개가 들어간다"는 제로비의 실험 결과에 누리꾼들은 "감자가 너무 조금 들어간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평소에도 '질소칩'이란 오명을 들어 왔던 포카칩이기에 이번 실험 결과는 누리꾼들에게 좋은 먹잇감이 됐다.
이로부터 이틀 만인 지난 8일, 오리온 공식 계정이 해당 영상에 댓글을 달았다. 오리온은 "저희 제품에 대해 살짝 말씀드리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공계 아이디를 빌려와 댓글을 남겨본다"며 "제로비님께서 포카칩 한 봉지에 감자 0.6개가 들어간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실제로 66g짜리 포카칩 한 봉지에는 200g짜리 감자가 1개에서 1.5개 정도 들어간다"고 전했다.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생감자에는 80~85%정도 수분이 들어있는데 이 감자를 얇게 썰어서 튀기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수분이 날아간다"라며 "단순 계산만으로도, 66g짜리 포카칩 한 봉을 만들기 위해서 감자 300g 정도가 필요한 셈"이라고 밝혔다.
이어 "튀긴 후 수분 일부가 기름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제조 과정에서 일어나는 로스(loss) 등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220g+a 만큼의 감자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라며 "아무래도 가정에서 튀길 때는 공장 제조설비와 환경이 다르다 보니, 데침의 정도, 튀김 온도, 시간 등에 따라 기름을 더 많이 먹어서 필요한 감자 양이 다를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YTN digital 정윤주 (younju@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는 "질소를 사면 감자칩을 준다는 걸로 유명한 포카칩에 감자 몇 개가 들어갈 지 알아보겠다"라며 실험 과정을 공개했다.
먼저 포카칩에서 가장 지름이 큰 감자칩을 골라 이와 지름이 비슷한 크기의 감자를 사고, 이를 껍질째로 얇게 썰었다. 그리고 물에 감자를 담가 감자의 전분을 제거한 뒤, 감자를 가볍게 데쳐 가볍고 바싹하게 튀길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감자 총 3개(998g)로 감자칩 324g을 만들 수 있었는데, 포카칩 한 봉지가 66g임을 감안하면 감자 3개로 약 5봉지의 감자칩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포카칩 한 개에 감자 0.6개가 들어간다"는 제로비의 실험 결과에 누리꾼들은 "감자가 너무 조금 들어간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평소에도 '질소칩'이란 오명을 들어 왔던 포카칩이기에 이번 실험 결과는 누리꾼들에게 좋은 먹잇감이 됐다.
이로부터 이틀 만인 지난 8일, 오리온 공식 계정이 해당 영상에 댓글을 달았다. 오리온은 "저희 제품에 대해 살짝 말씀드리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공계 아이디를 빌려와 댓글을 남겨본다"며 "제로비님께서 포카칩 한 봉지에 감자 0.6개가 들어간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실제로 66g짜리 포카칩 한 봉지에는 200g짜리 감자가 1개에서 1.5개 정도 들어간다"고 전했다.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생감자에는 80~85%정도 수분이 들어있는데 이 감자를 얇게 썰어서 튀기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수분이 날아간다"라며 "단순 계산만으로도, 66g짜리 포카칩 한 봉을 만들기 위해서 감자 300g 정도가 필요한 셈"이라고 밝혔다.
이어 "튀긴 후 수분 일부가 기름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제조 과정에서 일어나는 로스(loss) 등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220g+a 만큼의 감자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라며 "아무래도 가정에서 튀길 때는 공장 제조설비와 환경이 다르다 보니, 데침의 정도, 튀김 온도, 시간 등에 따라 기름을 더 많이 먹어서 필요한 감자 양이 다를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YTN digital 정윤주 (younju@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