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1월 5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시가총액 격차가 최근 10년 새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코스피가 올해 72% 오를 때, 코스닥은 37% 올라 상대적으로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올해 초만 해도 코스피 전체 시총은 코스닥의 약 5.7배 수준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차이가 7.2배로 더 커졌습니다. 반도체 등 대형주 중심의 랠리에서 코스닥은 소외됐던 영향입니다. 요즘 주식으로 다들 돈을 번다는데 왜 내 수익률만 파란색일까 했던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래도 증권가에선 코스닥을 비롯한 중소형주가 반등할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일반적으로 강세장에선 대형주가 먼저 오르고 나서 중소형주도 오르는 패턴이 반복되기도 했습니다. 어제 코스닥은 외국인의 2,300억 원어치 순매수에 힘입어 1.3% 올랐습니다. 이차전지와 바이오, 로봇 관련주들은 이미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다만 투자에서 섣부른 예단이나 확신은 금물이죠. 각자의 투자 기준을 지키면서 성투하시길바랍니다.
다음 중앙일보입니다.
서울에서 내돈내산으로 내 집 마련, 가능할까요? 있더라도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서울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2030 세대의 부동산 '부모 찬스' 의존이 1년 새 2배로 뛰었다는 기사입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입자 3명 중 1명은 2030으로 나타났는데이들이 집을 사기 위해 증여나 상속으로 충당한 금액이 5조7,413억 원, 1년 전엔 2조8천억 정도였으니까 2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부모나 조부모에게 대출을 받아 집을 산 건수는 작년보다 71%, 금액은 83% 늘었습니다. 차용증을 쓰고 이자를 주고받는 형식이지만, 실질적으론 증여 성격을 띠는 사례도 적지 않을 겁니다. 서울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부모 찬스'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의 내 집 마련이 부모의 재력에 좌우되는 현실인데신문은 부동산을 매개로 한 부의 대물림이 굳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한겨레신문은 초고령사회의 또 다른 그늘을 짚었습니다.
바로 눈덩이처럼 불어난 지하철 무임승차 손실액입니다. 부산 지하철 1호선으로 가보겠습니다. 승객의 절반은 60대 이상으로 보입니다. 무임승차가 도입될 땐 65세 이상 비율이 4%였는데, 40년 새 20%로 늘었습니다. 전국 도시철도 전체 승객 5명 중 1명은 공짜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 6곳의 교통공사가 최근 5년간 떠안은 누적 무임승차 손실액은 2조8천억 원에 달하는데그 손실은 지자체 교통공사가 떠안고 있습니다. 코레일에 손실액을 보전하는 것처럼 도시철도도 지원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지만정부는 적용되는 법 규정이 다르다며 국비 지원에 부정적인 입니다. 국회에서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인데 처리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 전문가들도 정부를 무임승차 손실 보상의 주체로 명시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초고령화에 대비해 무임승차 관련 규정과 기준 조정을 공론화할 때가 됐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끝으로 서울신문은 커피 제국 스타벅스가 무너지고 있다는 내용을 실었습니다.
미국과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인데 그 배경은 뭔지 보겠습니다. 우선 중국에선 토종 업체에 밀리다가 진출한 지 26년 만에 사업권 60%를 사모펀드에 매각했습니다. 루이싱커피로 대표되는 토종 커피의 저가 공세와 애국주의 문화에 밀린 영향입니다. 매장 숫자와 매출액, 가격에서 모두 루이싱커피가 스타벅스보다 우위에 있습니다. 안방인 미국에서도 상황이 심상치 않은데요. 젊은 세대의 소비 패턴이 바뀌고 마찬가지로 저가 커피 공세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스타벅스가 빠르고 개성적인 서비스를 찾는 젊은 세대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매출은 7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고, 성장률 1위 자리는 '더치브로스'라는 프랜차이즈에 내줬습니다. 스타벅스가 세계 최대 커피 제국이라는 점에 그간 이견은 없었는데최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아성이 조금씩 무너지는 모습입니다.
11월 5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1월 5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시가총액 격차가 최근 10년 새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코스피가 올해 72% 오를 때, 코스닥은 37% 올라 상대적으로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올해 초만 해도 코스피 전체 시총은 코스닥의 약 5.7배 수준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차이가 7.2배로 더 커졌습니다. 반도체 등 대형주 중심의 랠리에서 코스닥은 소외됐던 영향입니다. 요즘 주식으로 다들 돈을 번다는데 왜 내 수익률만 파란색일까 했던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래도 증권가에선 코스닥을 비롯한 중소형주가 반등할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일반적으로 강세장에선 대형주가 먼저 오르고 나서 중소형주도 오르는 패턴이 반복되기도 했습니다. 어제 코스닥은 외국인의 2,300억 원어치 순매수에 힘입어 1.3% 올랐습니다. 이차전지와 바이오, 로봇 관련주들은 이미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다만 투자에서 섣부른 예단이나 확신은 금물이죠. 각자의 투자 기준을 지키면서 성투하시길바랍니다.
다음 중앙일보입니다.
서울에서 내돈내산으로 내 집 마련, 가능할까요? 있더라도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서울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2030 세대의 부동산 '부모 찬스' 의존이 1년 새 2배로 뛰었다는 기사입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입자 3명 중 1명은 2030으로 나타났는데이들이 집을 사기 위해 증여나 상속으로 충당한 금액이 5조7,413억 원, 1년 전엔 2조8천억 정도였으니까 2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부모나 조부모에게 대출을 받아 집을 산 건수는 작년보다 71%, 금액은 83% 늘었습니다. 차용증을 쓰고 이자를 주고받는 형식이지만, 실질적으론 증여 성격을 띠는 사례도 적지 않을 겁니다. 서울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부모 찬스'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들의 내 집 마련이 부모의 재력에 좌우되는 현실인데신문은 부동산을 매개로 한 부의 대물림이 굳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한겨레신문은 초고령사회의 또 다른 그늘을 짚었습니다.
바로 눈덩이처럼 불어난 지하철 무임승차 손실액입니다. 부산 지하철 1호선으로 가보겠습니다. 승객의 절반은 60대 이상으로 보입니다. 무임승차가 도입될 땐 65세 이상 비율이 4%였는데, 40년 새 20%로 늘었습니다. 전국 도시철도 전체 승객 5명 중 1명은 공짜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 6곳의 교통공사가 최근 5년간 떠안은 누적 무임승차 손실액은 2조8천억 원에 달하는데그 손실은 지자체 교통공사가 떠안고 있습니다. 코레일에 손실액을 보전하는 것처럼 도시철도도 지원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지만정부는 적용되는 법 규정이 다르다며 국비 지원에 부정적인 입니다. 국회에서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인데 처리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 전문가들도 정부를 무임승차 손실 보상의 주체로 명시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초고령화에 대비해 무임승차 관련 규정과 기준 조정을 공론화할 때가 됐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끝으로 서울신문은 커피 제국 스타벅스가 무너지고 있다는 내용을 실었습니다.
미국과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인데 그 배경은 뭔지 보겠습니다. 우선 중국에선 토종 업체에 밀리다가 진출한 지 26년 만에 사업권 60%를 사모펀드에 매각했습니다. 루이싱커피로 대표되는 토종 커피의 저가 공세와 애국주의 문화에 밀린 영향입니다. 매장 숫자와 매출액, 가격에서 모두 루이싱커피가 스타벅스보다 우위에 있습니다. 안방인 미국에서도 상황이 심상치 않은데요. 젊은 세대의 소비 패턴이 바뀌고 마찬가지로 저가 커피 공세가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스타벅스가 빠르고 개성적인 서비스를 찾는 젊은 세대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매출은 7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고, 성장률 1위 자리는 '더치브로스'라는 프랜차이즈에 내줬습니다. 스타벅스가 세계 최대 커피 제국이라는 점에 그간 이견은 없었는데최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아성이 조금씩 무너지는 모습입니다.
11월 5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