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녹색금융' 드라이브에도...정책금융기관 공급 1/3 그쳐

단독 '녹색금융' 드라이브에도...정책금융기관 공급 1/3 그쳐

2025.10.19. 오전 05:5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친환경 산업을 뒷받침하는 '녹색금융'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도 녹색금융 활성화에 방점을 찍었지만 정작 국책 금융기관의 공급 실적은 목표의 3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손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녹색금융은 '환경보호'와 '경제성장',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생산적 금융을 말합니다.

재생에너지나 친환경 기술 기업에 대출·투자 등 자금을 지원해 저탄소 성장을 이끌겠다는 취지입니다.

정부 역시 녹색금융을 환경정책이 아닌 경제정책 핵심축으로 놓고 금융권 역할을 당부해왔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지난 6월 국회 시정연설) : 첨단기술 산업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조속히 완료해 기후 위기와 RE100에 대응해야 합니다.]

하지만 정부 기조에 발맞춰야 할 정책금융기관의 녹색금융 공급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금융위원회가 목표한 올해 녹색산업 지원액은 52조 4천억 원.

정책금융기관의 상반기 집행액은 17조 9천억 원으로 목표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산업은행을 제외한 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공급 실적은 각각 36%, 22%에 머물렀습니다.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의 '녹색보증' 실적은 한 자릿수에 그쳐 매우 저조한 수준이었습니다.

대출이나 투자를 할 때 친환경 경제활동을 판단하는 기준도 국책은행마다 제각각이었습니다.

산업은행은 정부의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운데 일부 기준만 적용하고 있었고

기업은행·수출입은행은 자체 기준으로 실적을 산정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책은행들의 녹색공급 실적을 정부 기준에 따라 다시 따져보니 그 차이가 10조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병덕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녹색금융은 생산적 금융의 핵심입니다. 정부와 금융권이 함께 녹색 산업 전환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책은행 3곳은 민병덕 의원실에 정부 기준에 맞춰 녹색금융 공급·산정 체계를 갖추겠다고 약속했습니다.

YTN 손효정입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