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2차 기술협의' 범정부 대표단, 오늘 미국행

관세협상 '2차 기술협의' 범정부 대표단, 오늘 미국행

2025.05.20. 오전 00:5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한미가 균형무역, 비관세조치 등 6개 분야로 나눠 관세 협상을 이어가기로 한 가운데 오늘 정부 대표단이 2차 기술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갑니다.

새 정부 출범 전 사실상 마지막 대면 협의로, 미국 측 속내를 얼마나 파악하고 올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주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가 만나 합의한 대로 이번 주 곧바로 2차 기술협의가 이어집니다.

주무 부처인 산업부 장성길 통상정책국장을 단장으로 10여 명 규모의 정부 대표단이 꾸려졌는데,

기재부와 과기부, 농식품부 실무진이 포함됐습니다.

대표단은 2박 3일 정도 미국 워싱턴 DC에 머물며 릴레이 실무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

한미는 향후 관세협상을 6개 분야로 나눠 논의하기로 했는데,

예를 들어 비관세조치와 관련해 수입 규제나 검역 문제를 논의할 때는 농식품부 실무진이 참여하고

디지털 교역과 관련해 망 사용료 문제를 논의할 때는 과기부 실무진이 참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입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줄라이 패키지' 안에서 뭐를 구체적으로 우리가 풀려고 협상의 테이블 안에 올라오게 될지는 저희가 좀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농림부를 포함한 여러 가지 관련 부처들이 함께 포함이 돼서 이슈별로 대응을 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곧 새 정부가 출범하다 보니 이번 기술협의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미국 측 요구사항을 탐색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 안건 가운데 미국 측이 가장 우선시하는 게 뭔지 정확히 파악해 차기 정부에 전달하고, 이후 관세협상을 순조롭게 이어가는 게 급선무인 상황.

일단 다음달 중순 추가 고위급 접촉이 예정된 가운데,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끝나는 7월 8일 전까지 협상을 타결지을 수 있을지 전 산업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YTN 황혜경입니다.


영상편집 이은경
디자인 정은옥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