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반짝 해제 여파로 보이는데 토허제가 확대 재지정된 이후에도 강남, 서초, 용산구 등은 상승 거래 비중이 오히려 늘었습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반짝 해제 여파로 아파트 매매 시장의 열기는 뜨거웠습니다.
대출 규제가 강화된 지난해 9월 이후 올해 1월까지 줄곧 3천 건대에 머물렀던 거래량은 강남 일부 지역의 토허제가 반짝 해제된 지난 2월 6천 건대로 뛰었습니다.
이어 지난 3월엔 1만 건을 넘어서며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서울시가 지난 3월 24일부터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한 만큼 4월 거래량은 한풀 꺾일 것으로 관측됩니다.
[양지영 / 신한투자증권 주거용부동산팀장 :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되면서 그동안 거래가 불가했던 곳들이 갭 투자가 가능해져 거래량이 상당히 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고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됐기 때문에 (4월) 거래량은 크게 감소할 것으로….]
토허제 확대 이후 서울 전체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도 60%에서 56%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자치구별로 온도 차는 컸습니다.
토허제로 확대 재지정된 자치구 4곳 가운데 송파구를 제외한 강남, 서초, 용산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이전보다 더 늘어 서울 전체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마포, 성동구 등도 이전보다 상승 거래 비중이 커져 풍선효과가 감지되는 상황.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윤지해 /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 : 일부 지역에선 거래량이 줄어드는 건 확인됐으나 여전히 추세적으로 시장에서의 핵심 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보니 상승 거래 비중은 강남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반면 서울 외곽지역의 경우 상승 비중이 절반에도 못 미치며 서울 아파트 시장의 양극화 현상도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이정욱
디자인;김효진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반짝 해제 여파로 보이는데 토허제가 확대 재지정된 이후에도 강남, 서초, 용산구 등은 상승 거래 비중이 오히려 늘었습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반짝 해제 여파로 아파트 매매 시장의 열기는 뜨거웠습니다.
대출 규제가 강화된 지난해 9월 이후 올해 1월까지 줄곧 3천 건대에 머물렀던 거래량은 강남 일부 지역의 토허제가 반짝 해제된 지난 2월 6천 건대로 뛰었습니다.
이어 지난 3월엔 1만 건을 넘어서며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서울시가 지난 3월 24일부터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한 만큼 4월 거래량은 한풀 꺾일 것으로 관측됩니다.
[양지영 / 신한투자증권 주거용부동산팀장 :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되면서 그동안 거래가 불가했던 곳들이 갭 투자가 가능해져 거래량이 상당히 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고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됐기 때문에 (4월) 거래량은 크게 감소할 것으로….]
토허제 확대 이후 서울 전체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도 60%에서 56%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자치구별로 온도 차는 컸습니다.
토허제로 확대 재지정된 자치구 4곳 가운데 송파구를 제외한 강남, 서초, 용산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이전보다 더 늘어 서울 전체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마포, 성동구 등도 이전보다 상승 거래 비중이 커져 풍선효과가 감지되는 상황.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윤지해 /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 : 일부 지역에선 거래량이 줄어드는 건 확인됐으나 여전히 추세적으로 시장에서의 핵심 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보니 상승 거래 비중은 강남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반면 서울 외곽지역의 경우 상승 비중이 절반에도 못 미치며 서울 아파트 시장의 양극화 현상도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이정욱
디자인;김효진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