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코로나 시기 저금리 기조 속에 빠르게 늘었던 가계부채.
몸집이 급격히 불어난 건 '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사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최근 이 영끌족이 벼랑 끝에 몰렸다는 신호가 속속 감지되고 있습니다.
우선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2월 말 기준 서울 지역 주담대 연체율은 0.35%로 2019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전국 수준도 4년 전보다 2배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시 저리로 받은 고정형 대출 금리가 최근 다시 산정되면서 이자 부담이 대폭 커진 것도 한몫한 거로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아예 집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올해 1~4월 임의경매로 매각된 서울 부동산은 97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나 증가했는데요.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집합건물의 비중이 81%였는데, 대출을 못 갚아 경매로 팔린 부동산 10건 중 8건이 주거용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빚에 허덕여 소비 여력은커녕 보금자리를 지키지도 못하는 사람이 그만큼 늘고 있다는 거죠.
더 막막한 현실은 기껏 영끌해 산 집을 팔아서 빚을 갚기도 여의치 않다는 겁니다.
2022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면서 현재 집값이 살 때보다 더 떨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이렇게 '시세차손'까지 떠안고 빚을 갚느라 소비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영끌족'이 한계에 부딪혔다는 경고음이 나오는 상황.
가계 부채의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큰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조진혁 (chojh033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몸집이 급격히 불어난 건 '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사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최근 이 영끌족이 벼랑 끝에 몰렸다는 신호가 속속 감지되고 있습니다.
우선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2월 말 기준 서울 지역 주담대 연체율은 0.35%로 2019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전국 수준도 4년 전보다 2배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시 저리로 받은 고정형 대출 금리가 최근 다시 산정되면서 이자 부담이 대폭 커진 것도 한몫한 거로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아예 집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올해 1~4월 임의경매로 매각된 서울 부동산은 97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나 증가했는데요.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집합건물의 비중이 81%였는데, 대출을 못 갚아 경매로 팔린 부동산 10건 중 8건이 주거용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빚에 허덕여 소비 여력은커녕 보금자리를 지키지도 못하는 사람이 그만큼 늘고 있다는 거죠.
더 막막한 현실은 기껏 영끌해 산 집을 팔아서 빚을 갚기도 여의치 않다는 겁니다.
2022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면서 현재 집값이 살 때보다 더 떨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이렇게 '시세차손'까지 떠안고 빚을 갚느라 소비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영끌족'이 한계에 부딪혔다는 경고음이 나오는 상황.
가계 부채의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큰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조진혁 (chojh033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