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K하이닉스가 전 세계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처음 1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점유율 36%로 1위를 차지했고, 삼성전자가 34%, 마이크론이 25%로 뒤를 이었다고 밝혔습니다.
SK하이닉스는 특히 핵심 기술인 고대역폭 메모리, HBM 분야에서 70%의 시장 점유율로 압도적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를 달성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HBM 호황에다 삼성전자의 주력인 범용 메모리 반도체가 수요 침체와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로 부진했던 영향으로, 이 같은 구도는 2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내다봤습니다.
또 "단기적으로는 인공지능 수요가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HBM 시장은 무역 충격에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미국발 무역 충격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이 HBM 시장 성장에 리스크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점유율 36%로 1위를 차지했고, 삼성전자가 34%, 마이크론이 25%로 뒤를 이었다고 밝혔습니다.
SK하이닉스는 특히 핵심 기술인 고대역폭 메모리, HBM 분야에서 70%의 시장 점유율로 압도적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를 달성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HBM 호황에다 삼성전자의 주력인 범용 메모리 반도체가 수요 침체와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로 부진했던 영향으로, 이 같은 구도는 2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내다봤습니다.
또 "단기적으로는 인공지능 수요가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HBM 시장은 무역 충격에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미국발 무역 충격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이 HBM 시장 성장에 리스크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