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동해안에서 석탄 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민간 발전사들이 송전망 건설 지연으로 큰 손실을 봤다며 한국전력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습니다.
삼성물산이 29% 지분을 가진 강릉에코파워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송전망 부족으로 발전소 가동률이 20%대에 머물고, 지난해 적자만 2,4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한국전력은 100%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해서는 경제성 원칙에 따라 송전망 설비를 우선 사용하도록 하고 있어 지위남용에 해당한다는 주장입니다.
앞서 정부와 한전의 전력망 건설 계획에 따라 각각 5조 원가량이 투자된 동해안 민간 발전사들은 지난 2023년부터 순차 상업운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예정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이 지역 주민 반대 등으로 지연되면서, 발전소를 돌리더라도 수요가 있는 수도권으로 보낼 수 없는 상황입니다.
강릉에코파워를 비롯한 일부 민간발전사들은 관련 법무 검토를 마치고 이르면 다음 달 공정위에 한전을 제소할 방침입니다.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삼성물산이 29% 지분을 가진 강릉에코파워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송전망 부족으로 발전소 가동률이 20%대에 머물고, 지난해 적자만 2,4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한국전력은 100%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자력발전소에 대해서는 경제성 원칙에 따라 송전망 설비를 우선 사용하도록 하고 있어 지위남용에 해당한다는 주장입니다.
앞서 정부와 한전의 전력망 건설 계획에 따라 각각 5조 원가량이 투자된 동해안 민간 발전사들은 지난 2023년부터 순차 상업운전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예정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이 지역 주민 반대 등으로 지연되면서, 발전소를 돌리더라도 수요가 있는 수도권으로 보낼 수 없는 상황입니다.
강릉에코파워를 비롯한 일부 민간발전사들은 관련 법무 검토를 마치고 이르면 다음 달 공정위에 한전을 제소할 방침입니다.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