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금리 또 동결

올해 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금리 또 동결

2024.05.23. 오후 7: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1분기 1.3% ’깜짝’ 성장…시장 전망치 두 배 넘어
금리 연 3.5% 11연속 동결…금통위원 만장일치
성장세 개선·환율 변동성 커져 물가 상방 우려↑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도 더 커져"
AD
[앵커]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크게 올렸습니다.

기준금리는 이번에도 연 3.5%로, 11차례 연속 동결됐습니다.

이형원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경제는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거뒀습니다.

수출 호조 속에 내수가 예상보다 선전하면서 시장 전망치의 두 배가 넘는 1.3%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2월 내놓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크게 올린 이유입니다.

구체적으로 민간소비 전망치는 0.2%p, 건설투자는 0.6%p 높였고,

순수출 증가 폭도 더 올려 잡았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글로벌 it 경기 호조와 미국 경제의 강한 성장세 등 대외 요인이 0.3%p, 내수 부진 완화 등 대내 요인도 0.1%p 높이는 요인으로…]

경기 방어를 위한 조기 인하 명분이 약해지면서, 기준금리는 연 3.5%를 유지했습니다.

금융통화위원 만장일치로, 11차례 연속 동결을 결정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과 환율 변동성 확대로 상방 우려가 커졌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물가 불안에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도 더 커졌다는 게 한국은행 판단입니다.

이에 석 달 뒤 금리 수준에 대해서도 금통위원 한 명만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고, 나머지 5명은 동결 견해를 보였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2.3%, 2.4%로 이렇게 내려가는 추세가 잘 되면 그다음에 이제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고려를 할 수 있지 않나. 추가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 상황에서는 그 가능성은 제한적이지 않나…]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기존 2.6%를 유지했습니다.

높은 성장세 대부분이 순수출 증가에 기인한 데다 소비 회복세가 완만하다는 점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YTN 이형원입니다.


촬영기자 : 유준석
영상편집 : 한수민
그래픽 : 김진호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