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앞으로 과실 협의가 필요한 차 대 차 사고가 난 경우 고객이 보험사 간 진행되는 과실협의 결과를 문자나 카카오톡으로 받아볼 수 있게 됩니다.
보험개발원은 오늘(26일) 그동안 보험사 보상 직원이 고객에게 유선 통화 등으로 안내했던 과실협의 내용을 다음 달부터는 보고서, 즉 리포트 형식으로 작성해 문자나 카카오톡, 이메일 등으로 안내한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리포트에는 보험사 간 협의에 따른 과실비율과 사고 상황, 사고 정보 등 상세 자료가 포함됩니다.
이와 함께 보험사 간 전화통화나 이메일, 메신저 등으로 진행했던 과실협의도 보험사와 공제조합 업무포털에서 과실협의 시스템을 활용해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 보험개발원은 불필요한 분쟁심의위원회 신청 건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해 기준 자동차보험 차 대 차 사고 가운데 일방과실 사고는 229만 건으로 전체의 81.7%였고, 나머지 18.3%는 쌍방과실 사고로 51만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쌍방과실 가운데 분쟁심의 신청 비율은 2018년 11.3%에서 2022년 23.7%로 5년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엄윤주 (eomyj101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보험개발원은 오늘(26일) 그동안 보험사 보상 직원이 고객에게 유선 통화 등으로 안내했던 과실협의 내용을 다음 달부터는 보고서, 즉 리포트 형식으로 작성해 문자나 카카오톡, 이메일 등으로 안내한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리포트에는 보험사 간 협의에 따른 과실비율과 사고 상황, 사고 정보 등 상세 자료가 포함됩니다.
이와 함께 보험사 간 전화통화나 이메일, 메신저 등으로 진행했던 과실협의도 보험사와 공제조합 업무포털에서 과실협의 시스템을 활용해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 보험개발원은 불필요한 분쟁심의위원회 신청 건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해 기준 자동차보험 차 대 차 사고 가운데 일방과실 사고는 229만 건으로 전체의 81.7%였고, 나머지 18.3%는 쌍방과실 사고로 51만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쌍방과실 가운데 분쟁심의 신청 비율은 2018년 11.3%에서 2022년 23.7%로 5년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엄윤주 (eomyj101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