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발 부동산 PF 위기...5년 내 최대규모 건설사 폐업

새마을금고발 부동산 PF 위기...5년 내 최대규모 건설사 폐업

2023.07.08. 오전 08: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새마을금고발 부동산 PF 위기...5년 내 최대규모 건설사 폐업
사진출처 = YTN
AD
1분기 건설사 939곳 폐업…5년 내 최대 규모

939곳. 올해 1분기 폐업을 신고한 건설업체 규모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나온 결과이다. 분기별로 보면 최근 5년 내 가장 많은 건설업 폐업 신고가 등록됐다.

다만 실질적으로 폐업한 곳은 이보다 적은 600곳으로 종합건설업체 82곳, 전문건설업체 518곳이었다. 나머지 339곳은 폐업 신고를 했지만, 여전히 건설업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폐업 통계와는 차이가 있지만 건설업 위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측은 "고금리·고물가·고환율과 글로벌 경기침체로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고 미분양 주택이 누적되면서 건설 경기가 하강 국면으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2022년 기준 건설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4%에 이른다. 건설업 위기가 국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미다. 그런데 앞으로가 더 문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중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 대출을 사실상 중단했다. 건설 경기가 좋을 때 경쟁적으로 PF 대출을 늘렸지만 부실화 우려가 커지면서 급격히 돈을 죄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면 건설사는 신규 물량을 소화할 수 없어 폐업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 16% 육박

그렇다면 부동산 PF 부실은 어느 정도일까? 올 3월 말 기준 전체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전체 잔액은 131조 6,000억 원. 지난해 말보다 1조 3,000억 원 늘었다. 연체율은 2.01%로 지난해 말(1.19%)보다 0.82%포인트나 늘어났다.

금융권 가운데 연체율이 가장 높은 권역은 증권사. 증권업권은 1분기 말 무려 15.88%의 연체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연체율은 10.38%였으나, 3개월 만에 5.50%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대출 연체 잔액이 자기자본의 1.1% 수준에 불과해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른 금융권은 어떨까? 여신전문금융업과 저축은행의 경우 연체율이 각각 1.99%포인트와 2.02%포인트 증가했다. 보험업권의 연체율은 0.06%포인트, 상호금융업권은 0.01%포인트 늘어났다. 은행권은 오히려 연체율이 0.01%포인트 줄어들었는데 이는 시중은행이 지난해 PF 대출 중단에 나선 결과로 보인다.

새마을금고 위기도 결국 '부동산 PF'

새마을금고의 대규모 예금 인출 문제를 촉발한 것 또한 부동산 PF 부실 때문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견됐던 일이다. 새마을금고는 시중은행과 대형 증권사가 발을 빼기 시작할 때 뒤늦게 뛰어들었다. 결과는 부실 대출 급증으로 이어졌다.

행안부가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가 건설업과 부동산업에 내준 기업 대출 잔액은 56조 4,000억 원에 이른다. 2019년 말 27조 2,000억 원 수준이었는데 3년 새 2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부동산시장 불황이 본격화하면서 연체율도 덩달아 올라갔다. 2019년 말 2.5%에 이르던 연체율은 2021년 말 4.1%, 지난해 말에는 7.7%로 급등했고 올해 1월 말 9.2%까지 치솟았다. 연체액 역시 지난해 말 4조 3,000억 원에서 올해 1월 말 5조 2,000억 원으로 한 달 새 무려 9,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건설 경기 전망은 '상저하저'

해당 금융권뿐만 아니라 금융당국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새마을금고를 포함해 금융권의 연체율을 낮추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4일 금융위원회는 '제2차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 회의’까지 열며 선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PF 대주단 협약과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등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문제는 하반기 건설 경기 전망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설연)이 최근 발표한 '2023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 전망'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하반기 0.7% 하락해 연간 4.8%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해 전국 연간 하락률 4.7%와 비슷한 수준이다. 예측대로라면 국가 경제 전체 전망과 비슷하게 '상저하저'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이번에 새마을금고를 계기로 떠오른 부동산 PF 문제가 어떻게 번질지 예단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YTN 이대건 (dgle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프로그램 개편 기념 특별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