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LG전자의 의류 건조기 일부 제품이 설계·구조적인 이유로 내부 부품에 먼지가 쌓이고 바닥에는 물이 고이는 현상이 확인돼 시정 권고가 내려졌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LG전자의 콘덴서 자동세척 의류 건조기인 '트롬 듀얼인버터 히트펌프 건조기'를 쓰는 50가구를 현장 점검한 결과, 제습 작용을 하는 콘덴서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8,9kg 용량의 소형 건조기보다 14,16kg인 대형에서 먼지 쌓임 정도가 심했고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이거나 사용 기간이 오래될수록 더 많이 쌓여 있었습니다.
또 건조기 내부 바닥에는 건조 뒤 완전히 배출되지 않은 물이 상당량 남아 있어 곰팡이 등 미생물이 번식해 악취가 발생하거나 내부 금속 부품이 부식하기 쉬운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콘덴서 자동 세척기능 조건 설정이 미흡하거나 건조기 내부 바닥의 구조가 원인으로 지적됐습니다.
소비자원은 LG전자에 시정을 권고했고 업체 측은 지금까지 판매된 모든 제품에 대해 기존 부품을 개선된 부품으로 무상 교체하고 프로그램 개선 등의 조치를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체와 수리를 원하는 소비자는 LG전자 서비스센터를 통해 요청하면 됩니다.
신윤정 [yjshin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LG전자의 콘덴서 자동세척 의류 건조기인 '트롬 듀얼인버터 히트펌프 건조기'를 쓰는 50가구를 현장 점검한 결과, 제습 작용을 하는 콘덴서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8,9kg 용량의 소형 건조기보다 14,16kg인 대형에서 먼지 쌓임 정도가 심했고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이거나 사용 기간이 오래될수록 더 많이 쌓여 있었습니다.
또 건조기 내부 바닥에는 건조 뒤 완전히 배출되지 않은 물이 상당량 남아 있어 곰팡이 등 미생물이 번식해 악취가 발생하거나 내부 금속 부품이 부식하기 쉬운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콘덴서 자동 세척기능 조건 설정이 미흡하거나 건조기 내부 바닥의 구조가 원인으로 지적됐습니다.
소비자원은 LG전자에 시정을 권고했고 업체 측은 지금까지 판매된 모든 제품에 대해 기존 부품을 개선된 부품으로 무상 교체하고 프로그램 개선 등의 조치를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교체와 수리를 원하는 소비자는 LG전자 서비스센터를 통해 요청하면 됩니다.
신윤정 [yjshin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