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앵커리포트] '일제 불매운동'의 역사...이번엔 다르다

[더뉴스 앵커리포트] '일제 불매운동'의 역사...이번엔 다르다

2019.07.11. 오후 1:4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반도체 소재 등 수출 규제로 경제 보복에 나선 이후 국내 소비자 사이에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번지고 있습니다.

일제 불매운동의 역사를 되짚어 보겠습니다.

약 1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20년대초,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조선물산장려운동이 일본에 대한 불매운동의 시초라 할 수 있습니다.

3.1운동 직후 고당 조만식 선생을 중심으로 평양에서 단체가 만들어졌고 이후 전국 차원의 운동으로 확산됐습니다.

'내 살림 내 것으로', '조선 사람 조선 것'이라는 표어를 내걸었습니다.

해방 후에는 한일관계, 특히 역사 문제가 불거질 때 불매운동이 일었습니다.

1990년대 초, 일본이 자위대의 해외 파병을 꾀하던 시점에 불매운동이 있었습니다.

자위대 파병을 군국주의 부활로 인식한 단체들이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나섰습니다.

이 사진은 서울의 한 백화점에서 일본 상품 전시회가 열린 것을 규탄하는 장면입니다.

광복 50주 년을 맞아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일 전개됐던 1995년에는 목적이 구체적인 불매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일본 담배 퇴출 운동, 수입담배 중에서 가장 잘 팔리던 일본산 담배 마일드세븐이 타깃이었습니다.

상점에는 '일제 담배를 판매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나붙었고 일본 대사관 앞, 그리고 담배 산지 등에서는'마일드세븐' 화형식이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2001년에는 후소샤라는 출판사의 역사 왜곡 교과서가 불매운동을 촉발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왜곡된 내용에 대한 수정을 요구했지만 일본 정부는 거부 입장을 밝혔고 이를 계기로 한국에서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일었습니다.

독도와 관련해 문제가 됐던 일은 또 있었습니다.

2005년 일본이 일방적으로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하는 조례를 제정했고 이는 불매운동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시민단체들은 미쓰비시, 후지쯔 등 5개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불매운동을 전개했습니다.

2013년에도 아베 정부가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정부 관료를 파견한 것에 반발해 3.1절에 서울 탑골공원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전개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불거진 한일 갈등은 징용배상 판결에서 비롯됐습니다.

역시 뿌리는 역사문제입니다.

하지만 일본이 자국 내 행동에 그치지 않고 한국을 향해 구체적인 보복을 가했다는 점에서 과거와 차이가 있습니다.

불매운동 양상도 특정 제품이나 대표 상품에 한정하지 않고 세세한 제품까지 대상으로 한다는 점, 그리고 해당 정보를 SNS를 통해 공유하면서 확대 재생산한다는 점도 다른 모습입니다.

이런 점에서 향후 한일관계 추이에 따라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전에 없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