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N팩트] 롯데, 중국 사드 보복에 백기...다른 사업도 불똥 우려

[취재N팩트] 롯데, 중국 사드 보복에 백기...다른 사업도 불똥 우려

2017.09.15. 오후 1: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중국의 사드 보복에 결국 롯데가 중국 롯데마트를 매각하기로 했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 사드 갈등은 더욱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다른 업종까지 피해가 확산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세호 기자!

신동빈 회장은 최근까지도 중국에서 철수는 없다, 이렇게까지 이야기 했는데 결국 철수를 결정하게 된 배경은 무엇입니까?

[기자]
롯데가 결국 중국의 거듭된 사드 보복에 두 손을 들었습니다.

롯데마트는 지난 주 중국 현지 골드만 삭스를 롯데마트 매각 주간회사로 선정했는데요, 마트와 수퍼 등 중국 내 점포 112곳의 일괄 매각을 타진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신동빈 회장은 지난 4월 외신과의 인터뷰 등에서 중국 내 철수는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더욱 높아지는데도 중국은 오히려 사드 보복을 이어갔습니다.

롯데는 현재 중국 내 99개 마트 가운데 87곳의 영업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긴급자금 7천억 원을 중국 롯데마트에 투입하며 버텼지만 롯데가 더이상 감내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것입니다.

[앵커]
롯데의 피해 상황은 어느 정도입니까?

[기자]
피해는 말 그대로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올해 롯데의 2분기 중국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무려 94% 줄었습니다.

게다가 중국법상 일을 하지 않는 직원들에게도 임금의 70%를 내놔야 합니다.

롯데가 지난 2월부터 현재까지 사드 보복으로 입은 피해액은 5천 억원으로 추정되는데요,

연말에는 1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결국 롯데로서는 매각과 철수라는 극단적인 선택지 이외에는 방법이 없던 셈입니다.

[앵커]
롯데 마트 이외의 다른 사업에도 영향을 결국 주지 않겠습니까?

[기자]
롯데는 중국에 유통 이외 식품과 관광, 제조, 금융 등 22개 계열사가 이미 진출해 있습니다.

특히 신동빈 회장은 3조 원을 투자하는 중국 선양 롯데월드 프로젝트에 적극 나서기도 했는데요, 지난해 11월 공사중지 처분을 받은 이후 작업이 멈춰 있습니다.

또 청두에 1조 원을 투입한 복합 단지도 아파트 천4백여 채 등은 분양이 완료됐지만, 바로 옆에 짓기로 했던 백화점 등 상업시설은 중국 당국의 허가가 나지 않아 착공을 못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내 롯데 사업 전반이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앵커]
롯데 뿐 만이 아니라 다른 기업들 역시 중국 내 사업 위기감이 커지고 있죠?

[기자]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우선 이마트는 한 때 매장이 30개에 이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6개만 남았고, 이마저도 모두 접고 연내 철수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적자 누적에 중국의 사드 보복까지 겹쳤기 때문입니다.

또 중국 매출 비중이 큰 아모레 퍼시픽은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오리온은 상반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64% 급감했습니다.

현대차 역시 올해 상반기 중국 판매량이 1년 전보다 52%, 줄었는데, 역시 사드 보복 여파가 작용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앵커]
중국의 전방위적인 사드 보복에 대해 우리 정부 차원의 대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지난 13일 기자들은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에게 WTO 제소 여부를 물었습니다.

김 본부장은 이에 대해 '카드라는 것은 일단 쓰면 카드가 아니다, 제소할 것인가 아닌가는 옵션으로 항상 갖고 있지만 어떤 것이 효율적인지 세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다음날 청와대는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 문제로는 WTO에 제소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중간 어려운 문제는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며, 지금은 북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중국과의 협력을 유지해나가야 한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다만 정부는 지속적으로 중국 측에 우리 기업에 대한 보복을 중단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의 반발이 워낙 거세 이에 따른 파장을 잠재우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김세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