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 1992년에 배치된 뒤 34년간 우리 바닷속을 지켰던 장보고함이 임무를 마치는 마지막 항해를 했습니다.
장보고함 도입 이후 국산 잠수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최근엔 3천600톤급 첫 국산 잠수함도 진수됐는데요, 이제는 핵 추진 잠수함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리나라 첫 번째 잠수함, 장보고함이 임무를 끝내는 마지막 항해를 하고 있습니다.
34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천200 톤급의 장보고함은 아직도 위용을 자랑합니다.
지구 둘레 15바퀴가 넘는 63만3천km를 항해했고, 환태평양 훈련과 한미연합 대잠수함 훈련 등 주요 해외 훈련에 모두 참가했습니다.
장보고함의 마지막 가는 길엔 당시 초대 함장도 함께해 역사적 의미를 기렸습니다.
[안병구 / 초대 함장(예비역 해군준장) : 미지의 세계였던 대한민국 바닷속을 개척한 해양의 개척자 장보고함의 처음과 마지막을 함께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습니다.]
장보고함이 도입된 1992년 이전 우리나라는 단 한 척의 잠수함도 없었습니다.
당시 25척의 잠수함을 보유했던 북한에 비해 절대적 열세였는데, 장보고함을 도입하며 격차를 줄이기 시작한 겁니다.
이후 국산 잠수함 개발에 나선 우리나라는 지난 2018년 3,000톤급 첫 국산 잠수함 도산 안창호함을 진수시켰고,
최근엔 10개의 탄도미사일 발사관을 갖추며 몸집을 더 키운 3천600톤급 장영실함도 진수했습니다.
[이제권 소령 / 장보고함 함장 : 우리 잠수함 부대원들은 장보고함의 개척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는 침묵의 수호자로서 주어진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겠습니다.]
70여 척의 잠수함을 보유한 북한에 비해 아직은 수적으로 열세지만, 이제는 디젤 잠수함을 넘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핵 추진 잠수함 보유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YTN 김문경(mkkim@ytn.co.kr)입니다.
화면제공: 해군
영상편집: 서영미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1992년에 배치된 뒤 34년간 우리 바닷속을 지켰던 장보고함이 임무를 마치는 마지막 항해를 했습니다.
장보고함 도입 이후 국산 잠수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최근엔 3천600톤급 첫 국산 잠수함도 진수됐는데요, 이제는 핵 추진 잠수함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리나라 첫 번째 잠수함, 장보고함이 임무를 끝내는 마지막 항해를 하고 있습니다.
34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천200 톤급의 장보고함은 아직도 위용을 자랑합니다.
지구 둘레 15바퀴가 넘는 63만3천km를 항해했고, 환태평양 훈련과 한미연합 대잠수함 훈련 등 주요 해외 훈련에 모두 참가했습니다.
장보고함의 마지막 가는 길엔 당시 초대 함장도 함께해 역사적 의미를 기렸습니다.
[안병구 / 초대 함장(예비역 해군준장) : 미지의 세계였던 대한민국 바닷속을 개척한 해양의 개척자 장보고함의 처음과 마지막을 함께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습니다.]
장보고함이 도입된 1992년 이전 우리나라는 단 한 척의 잠수함도 없었습니다.
당시 25척의 잠수함을 보유했던 북한에 비해 절대적 열세였는데, 장보고함을 도입하며 격차를 줄이기 시작한 겁니다.
이후 국산 잠수함 개발에 나선 우리나라는 지난 2018년 3,000톤급 첫 국산 잠수함 도산 안창호함을 진수시켰고,
최근엔 10개의 탄도미사일 발사관을 갖추며 몸집을 더 키운 3천600톤급 장영실함도 진수했습니다.
[이제권 소령 / 장보고함 함장 : 우리 잠수함 부대원들은 장보고함의 개척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는 침묵의 수호자로서 주어진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겠습니다.]
70여 척의 잠수함을 보유한 북한에 비해 아직은 수적으로 열세지만, 이제는 디젤 잠수함을 넘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핵 추진 잠수함 보유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YTN 김문경(mkkim@ytn.co.kr)입니다.
화면제공: 해군
영상편집: 서영미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