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주 정치권의 최대 이슈는,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결정이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사법 리스크'와 연관된 대장동 사건이 다시 불거진 게 민주당으로썬 썩 달갑지 않은 사안이지만, 꼭 악재만은 아니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무슨 이야기인지, 강민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검찰이 대장동 항소를 포기하자, 국민의힘은 지난 한 주, '물 만난 고기'처럼 파상공세를 퍼부었습니다.
이번 파문을 반등 기회로 삼겠다는 듯, 정권 몰락의 신호탄이다, 대통령 아닌 범죄자다, 적나라한 표현으로 연일 정부 여당을 맹폭했습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대표(지난 13일) :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보면서 히틀러의 망령이 어른거립니다.]
민주당은 개발비리 당사자들이 중형을 선고받았고, 이재명 대통령으로까지 확대된 2차 수사는 처음부터 윤석열 정권의 '정적 죽이기' 목적이 다분했다는 논리로 방어 전선을 구축했습니다.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대표(지난 12일) : 이재명 성남시장을 뇌물 받은 것처럼 대장동 사건을 엮어서 수사해 봐도 뇌물 받은 게 안 나오니까 다시 또 시작하는 겁니까, 지금?]
애초에 재판에 넘길 사건도 아닌데, 친윤 정치검사들이 앞장서 일을 조작한 만큼, 대장동 사건의 처음부터 수사 과정 전반을 다시 꼼꼼히 살피자는 게 민주당 주류의 인식입니다.
[문진석 /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지난 14일) : 검찰은 왜 1차 수사팀 의견을 배제했는지 국민 앞에 분명히 밝힐 것을 촉구합니다.]
물론, 물밑에선 예상치 못한 항소 포기 변수에 당혹스러워하는 기류가 읽힙니다.
어쨌든 대통령의 배임 혐의와 연관된 사건인 만큼, APEC과 한미 관세협상으로 한창 상승세를 탄 정부 여당 입장에선 '긁어 부스럼'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꼭 나쁘게만 해석할 건 아니라는, 정반대 관측도 적잖습니다.
실제 이 대통령의 지지율도 두 달 만에 60%대를 회복하는 등, 외풍에 흔들리진 않는 분위기인데,
범여권에선 검찰의 집단 반발 움직임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것 같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내년 10월 해체를 눈앞에 둔 기득권의 마지막 저항처럼 비추어지며, 여론의 반발 심리를 자극했다는 겁니다.
민주당도 이런 민심에 발맞춰 '검란 단죄'라는 키워드를 앞으로 뽑으며, 이번 파문을 검찰 개혁의 마침표를 찍을 동력으로 역활용하는 데 당력을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 13일) : 검찰 개혁을 막기 위해 마지막까지 발악하는 정치 검사들을 이번에는 반드시 단죄하겠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삼자고는 하지만, 대장동은 이재명 대통령 등극을 3년 늦춘 강렬한 사건이라는 점까지 부정하긴 어렵습니다.
일종의 '양날의 칼'인 건데, 자칫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를 자극하는 부메랑이 되지 않도록, 정교한 정치 작업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이성모 온승원
영상편집: 이주연
디자인: 지경윤
○ 조사·의뢰기관 :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 조사 기간 : 2025년 11월 10일~12일(3일간) ○ 표본 오차 : ±3.1%포인트(95% 신뢰 수준) ○ 조사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 ○ 조사 방법 :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이용 전화면접조사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주 정치권의 최대 이슈는,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결정이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사법 리스크'와 연관된 대장동 사건이 다시 불거진 게 민주당으로썬 썩 달갑지 않은 사안이지만, 꼭 악재만은 아니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무슨 이야기인지, 강민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검찰이 대장동 항소를 포기하자, 국민의힘은 지난 한 주, '물 만난 고기'처럼 파상공세를 퍼부었습니다.
이번 파문을 반등 기회로 삼겠다는 듯, 정권 몰락의 신호탄이다, 대통령 아닌 범죄자다, 적나라한 표현으로 연일 정부 여당을 맹폭했습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대표(지난 13일) :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보면서 히틀러의 망령이 어른거립니다.]
민주당은 개발비리 당사자들이 중형을 선고받았고, 이재명 대통령으로까지 확대된 2차 수사는 처음부터 윤석열 정권의 '정적 죽이기' 목적이 다분했다는 논리로 방어 전선을 구축했습니다.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대표(지난 12일) : 이재명 성남시장을 뇌물 받은 것처럼 대장동 사건을 엮어서 수사해 봐도 뇌물 받은 게 안 나오니까 다시 또 시작하는 겁니까, 지금?]
애초에 재판에 넘길 사건도 아닌데, 친윤 정치검사들이 앞장서 일을 조작한 만큼, 대장동 사건의 처음부터 수사 과정 전반을 다시 꼼꼼히 살피자는 게 민주당 주류의 인식입니다.
[문진석 /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지난 14일) : 검찰은 왜 1차 수사팀 의견을 배제했는지 국민 앞에 분명히 밝힐 것을 촉구합니다.]
물론, 물밑에선 예상치 못한 항소 포기 변수에 당혹스러워하는 기류가 읽힙니다.
어쨌든 대통령의 배임 혐의와 연관된 사건인 만큼, APEC과 한미 관세협상으로 한창 상승세를 탄 정부 여당 입장에선 '긁어 부스럼'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꼭 나쁘게만 해석할 건 아니라는, 정반대 관측도 적잖습니다.
실제 이 대통령의 지지율도 두 달 만에 60%대를 회복하는 등, 외풍에 흔들리진 않는 분위기인데,
범여권에선 검찰의 집단 반발 움직임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것 같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내년 10월 해체를 눈앞에 둔 기득권의 마지막 저항처럼 비추어지며, 여론의 반발 심리를 자극했다는 겁니다.
민주당도 이런 민심에 발맞춰 '검란 단죄'라는 키워드를 앞으로 뽑으며, 이번 파문을 검찰 개혁의 마침표를 찍을 동력으로 역활용하는 데 당력을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 13일) : 검찰 개혁을 막기 위해 마지막까지 발악하는 정치 검사들을 이번에는 반드시 단죄하겠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삼자고는 하지만, 대장동은 이재명 대통령 등극을 3년 늦춘 강렬한 사건이라는 점까지 부정하긴 어렵습니다.
일종의 '양날의 칼'인 건데, 자칫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를 자극하는 부메랑이 되지 않도록, 정교한 정치 작업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이성모 온승원
영상편집: 이주연
디자인: 지경윤
○ 조사·의뢰기관 :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 조사 기간 : 2025년 11월 10일~12일(3일간) ○ 표본 오차 : ±3.1%포인트(95% 신뢰 수준) ○ 조사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 ○ 조사 방법 :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이용 전화면접조사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