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전기세 카드 납부가 가능한 일반 가정집과 달리, 자영업자 대부분은 계좌이체로 전기요금을 현금으로 내야 합니다.
한국전력이 일정 전기 사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계좌 이체 요금 납부를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인데 자영업자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사양 컴퓨터 100대가 넘는 대형 PC방은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되다 보니 전기 사용량이 다른 업장보다 유난히 많습니다.
한 달 평균 전기 요금이 2백만 원가량, 냉방 수요가 많은 여름철에는 4백만 원이 넘습니다.
상황에 따라 나눠낼 수 있으면 좋으련만, 불가능한 게 현실입니다.
[박경민 / PC방 사장 : (현금은) 가끔 한 번씩이고 나머지는 거의 다 카드로 돈을 낸다고 하거든요. 유독 전기 요금만 무조건 현금으로 빨리빨리 내세요. 이게 좀 많은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객실이 30개에 달하는 숙박업소 역시, TV와 에어컨, 각종 전열 기구 등으로 매달 전기세 수백만 원을 현금으로 부담하고 있습니다.
한 달 전력 사용량이 20kW를 넘는 경우, 카드 대신 계좌이체로 내야 한다는 한국전력의 규정 때문입니다.
특히 앱을 이용해 숙소를 예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플랫폼 업체 정산이 이뤄지기까지 일시적인 자금난에 시달리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김진한 / 모텔 사장 : 우리가 살다 보면 갑자기 급한 일이 있을 수도 있고 경기가 힘든데 (카드 결제가 되면) 그래도 조금 융통성 있게 돈을 돌릴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런데 한전의 카드 납부 기준은 지난 2014년 7kW에서 20kW로 상향된 뒤 그대로 멈춰있습니다.
1~1.3% 달하는 카드 수수료를 부담하면 전기 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대상을 넓히기 어렵다는 게 한전의 입장입니다.
[허종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소상공인, 자영업자 이런 분들에 대해선 하루빨리 한전이 카드를 쓸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게 정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 한해선 카드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담경감 크레딧' 제도와 관련한 한전 시스템이 뒤늦게 지난달 30일, 첫발을 뗐습니다.
한전의 부채도 200조 원에 달하는 만큼 지방세 납부의 경우 정부와 카드사의 협약에 따라 수수료를 면제하는 것처럼 제도적 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이규 온승원
디자인 : 신소정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전기세 카드 납부가 가능한 일반 가정집과 달리, 자영업자 대부분은 계좌이체로 전기요금을 현금으로 내야 합니다.
한국전력이 일정 전기 사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계좌 이체 요금 납부를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인데 자영업자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사양 컴퓨터 100대가 넘는 대형 PC방은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되다 보니 전기 사용량이 다른 업장보다 유난히 많습니다.
한 달 평균 전기 요금이 2백만 원가량, 냉방 수요가 많은 여름철에는 4백만 원이 넘습니다.
상황에 따라 나눠낼 수 있으면 좋으련만, 불가능한 게 현실입니다.
[박경민 / PC방 사장 : (현금은) 가끔 한 번씩이고 나머지는 거의 다 카드로 돈을 낸다고 하거든요. 유독 전기 요금만 무조건 현금으로 빨리빨리 내세요. 이게 좀 많은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객실이 30개에 달하는 숙박업소 역시, TV와 에어컨, 각종 전열 기구 등으로 매달 전기세 수백만 원을 현금으로 부담하고 있습니다.
한 달 전력 사용량이 20kW를 넘는 경우, 카드 대신 계좌이체로 내야 한다는 한국전력의 규정 때문입니다.
특히 앱을 이용해 숙소를 예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플랫폼 업체 정산이 이뤄지기까지 일시적인 자금난에 시달리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김진한 / 모텔 사장 : 우리가 살다 보면 갑자기 급한 일이 있을 수도 있고 경기가 힘든데 (카드 결제가 되면) 그래도 조금 융통성 있게 돈을 돌릴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런데 한전의 카드 납부 기준은 지난 2014년 7kW에서 20kW로 상향된 뒤 그대로 멈춰있습니다.
1~1.3% 달하는 카드 수수료를 부담하면 전기 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대상을 넓히기 어렵다는 게 한전의 입장입니다.
[허종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소상공인, 자영업자 이런 분들에 대해선 하루빨리 한전이 카드를 쓸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게 정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 한해선 카드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담경감 크레딧' 제도와 관련한 한전 시스템이 뒤늦게 지난달 30일, 첫발을 뗐습니다.
한전의 부채도 200조 원에 달하는 만큼 지방세 납부의 경우 정부와 카드사의 협약에 따라 수수료를 면제하는 것처럼 제도적 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이규 온승원
디자인 : 신소정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