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트럼프 첫 대좌 내일 새벽 1시...한미정상회담 촉각

이 대통령-트럼프 첫 대좌 내일 새벽 1시...한미정상회담 촉각

2025.08.25. 오후 6:4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 시각으로 내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처음 마주합니다.

과거 어느 때보다 양국이 조율할 현안이 많았단 평가 속에,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는데요,

미국 현지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인용 기자.

[기자]
네, 워싱턴 백악관 앞입니다.

[앵커]
이 대통령이 언제 트럼프 대통령과 한 자리에 서게 되는 겁니까?

[기자]
네, 백악관이 발표한 내용 토대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한국 시각으로 내일 새벽 1시,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영접을 받으며 백악관에 도착하게 됩니다.

15분 뒤, 두 정상은 백악관에서 양자회담을 시작합니다.

일정상으로 30분 정도인데, 실제로 소요될 시간은 얼마나 논의가 이어질지에 따라 유동적일 것 같습니다.

언론에도 보통 '생중계'가 되고, 이때 두 정상의 모두발언에 이어 양국 기자들의 질의 응답이 있을 거로 보입니다.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곧이어, 백악관 캐비닛 룸으로 장소를 옮겨 언론 비공개로 회담을 겸한 오찬을 가지고요,

일정을 모두 합쳐서 만남이 약 2시간 가까이 이어질 거 같은데, 처음 본 두 정상의 호흡이 잘 맞느냐에 따라 물론 달라질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회담 이후 공동 기자회견 등 일정은 잡히지 않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일정이 마무리되면, 한미 핵심 경제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국 협력을 모색할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 참석하고요,

이어 미 유력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에서 정책 연설을 하고, 미 정치권 오피니언 리더들 만찬을 하는 등 숨 가쁜 일정을 이어갑니다.

[앵커]
이 대통령, 한미정상회담 앞두고,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위해 철저히 대비해왔을 것 같은데요,

큰 틀에서의 의제랑 전망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그간 줄다리기가 이어져 온 의제는 크게 보면 통상과 안보 분야입니다.

먼저 통상 분야로는 지난달 말 한미 관세협상에서 타결된 대미 투자 펀드의 구체적인 운용 방안과 대미 직접 투자 관련 협의가 될 수 있겠고요,

안보 분야를 보면, 국방비 증액과 중국 견제를 위한 주한미군 역할 재조정 등이 회담 테이블에 오를 거로 보입니다.

이 대통령도 일본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기내 기자간담회에서, 안보와 국방비, 관세협상 등을 주요 의제로 언급했습니다.

안보에선 미 측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사항을 들어주되, 우리는 원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등을 요구할 수 있단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울러,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언급한 인공지능이나 국방분야 연구개발 등 한미 간 '새로운 협력 영역 개척' 또한, 하나의 의제가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이 대통령은 기내 간담회에서 한미정상회담 협상을 어떻게 대비했느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거래의 기술'이란 저서에 다 쓰여 있었다며 맞춤형 대응을 준비해왔음을 시사했는데요,

특히 국민의 기대를 충족하진 못하더라도 최소한 실망 시키진 말아야 한단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가 그리 무리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진 않을 거로 내다보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최대 시험대에 올랐단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두 정상의 첫 만남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백악관에서 YTN 정인용입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