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연합뉴스
AD
친여 성향 유튜브 매체 세 곳이 정식으로 대통령실을 출입하게 된 가운데,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친명 유튜버에 대한 '완장 채우기'"라며 비판에 나섰다.
24일 대통령실은 친여 성향 유튜브 ‘뉴스공장’과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세 곳을 대통령실 출입 기자단에 포함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측은 지난 정부에서 자의적으로 배제된 한국인터넷기자협회를 복권시키는 과정에서 이곳에 포함된 매체 중 등록 요건에 맞고, 출입 등록 신청을 넣은 3사를 포함했다며 그 배경을 밝혔다. 세 매체 모두 한국인터넷기자협회 등록사라는 설명이다.
다만, 대통령실은 정치 성향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중앙정부 기관에 신규 매체가 출입 기자로 등록하는 경우 통상 출입 기자단과 사전 논의를 하지만, 이번엔 별다른 논의 없이 대통령실이 기자단에 통보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논란이 불거지자 대통령실은 출입 기자 간사단과 협의해 여론을 수렴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안 의원은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친명 유튜버로 대통령실 출입기자를 잡도리하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자나깨나 이재명 대통령을 찬양하고 민주당 의원들의 순도를 감별하며 틈틈이 물건도 파는 친명 나팔수들이 이제 대통령 기자실에서 활개 치게 됐다"며 "(이들이) 기자실에 자리 잡고, 비판적인 질문을 하는 기자는 소위 좌표를 찍고, 질문 영상을 자신들의 채널에서 조리돌림하며 대변인에게 정부 홍보용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질문을 서비스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친민주당 유튜브에서는 이미 대통령실 기자 및 몇 사람을 쇼츠로 편집해 조롱하고 왜곡된 영상을 퍼뜨리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출입 허용은 친명 유튜버에 대한 '완장 채우기'라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보수 시사 유튜버의 출입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대통령실 기자단에 정식으로 포함되면 대통령 기자회견과 해외 순방에 동행할 수 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4일 대통령실은 친여 성향 유튜브 ‘뉴스공장’과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세 곳을 대통령실 출입 기자단에 포함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측은 지난 정부에서 자의적으로 배제된 한국인터넷기자협회를 복권시키는 과정에서 이곳에 포함된 매체 중 등록 요건에 맞고, 출입 등록 신청을 넣은 3사를 포함했다며 그 배경을 밝혔다. 세 매체 모두 한국인터넷기자협회 등록사라는 설명이다.
다만, 대통령실은 정치 성향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YTN
중앙정부 기관에 신규 매체가 출입 기자로 등록하는 경우 통상 출입 기자단과 사전 논의를 하지만, 이번엔 별다른 논의 없이 대통령실이 기자단에 통보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논란이 불거지자 대통령실은 출입 기자 간사단과 협의해 여론을 수렴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안 의원은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친명 유튜버로 대통령실 출입기자를 잡도리하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자나깨나 이재명 대통령을 찬양하고 민주당 의원들의 순도를 감별하며 틈틈이 물건도 파는 친명 나팔수들이 이제 대통령 기자실에서 활개 치게 됐다"며 "(이들이) 기자실에 자리 잡고, 비판적인 질문을 하는 기자는 소위 좌표를 찍고, 질문 영상을 자신들의 채널에서 조리돌림하며 대변인에게 정부 홍보용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질문을 서비스하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친민주당 유튜브에서는 이미 대통령실 기자 및 몇 사람을 쇼츠로 편집해 조롱하고 왜곡된 영상을 퍼뜨리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출입 허용은 친명 유튜버에 대한 '완장 채우기'라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보수 시사 유튜버의 출입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대통령실 기자단에 정식으로 포함되면 대통령 기자회견과 해외 순방에 동행할 수 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