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갑질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을 시사하면서 정치권 파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갑질 의혹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라며 철벽 방어에 나섰고, 국민의힘은 아부는 통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다연 기자!
인사 관련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죠, 여야 입장 각각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 것보다는,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임명 움직임에 여론이 더 집중되는 것 같습니다.
민주당은 강 후보자의 경우 자질이나 전문성 논란은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YTN 라디오에 나와, 다른 의혹은 대체로 소명이 됐고, 갑질이라는 게 아무래도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고 옹호했는데,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김현정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YTN 라디오 '뉴스 파이팅, 김영수입니다') : 갑질은 아무래도 좀 상대적이고 좀 주관적인 측면이 있지 않습니까? 최근에는 사실 전·현직 보좌진의 반대된 진술도 많이 나왔다고 합니다.]
민주당은 인사권자, 그러니까 대통령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요.
하지만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 후보자에 대한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건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갑질을 독려하는 이재명식 인사', '정권실패 지름길' 등 비난이 터져 나왔습니다.
앞으로 강 후보자가 상임위원회와 본회의에서 활동할 때 장관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도 엄포를 놨습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아침 회의에서 한마디 해명도 없이 임명을 강행한 건, 불통 정권임을 자인하는 '2차 인사 참사'라고 비판했습니다.
충성심과 보은을 기준으로 자리를 주는 '1차 인사 참사'보다 더하다는 겁니다.
발언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송언석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국민의 상식에 맞서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로 읽힙니다. 갑질 불패, 아부 불패, 측근불패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강선우 장관 후보자의 '예산 갑질'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정영애 전 여성가족부 장관은 어제(20일) 지인들과의 SNS 채팅방에, 지역구 민원 때문에 관련도 없는 예산을 삭감하는 갑질 의원을 여가부 장관으로 보낸다니 기가 막힌다고 적었습니다.
정 전 장관은 당시 국회 여성가족위원이었던 강 후보자가 자신의 지역구에 '해바라기 센터'를 설치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는데, 그러자 강 후보자가 화를 내며 여가부 기획조정실 예산 일부를 삭감했다고 회상했습니다.
결국, 정 전 장관이 의원실을 찾아가 사과하고 한 소리를 들은 뒤에야 예산이 복원됐다고 회상했습니다.
[앵커]
이런 분위기가, 다른 후보자의 청문 보고서 채택에도 영향을 미칠까요?
[기자]
지명이 철회된 이진숙 후보자를 빼면 10명이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민주당은 일단, 국민의힘이 협조하지 않으면 여당 단독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합니다.
야당의 비협조를 '국정 발목잡기'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특히 이진숙 후보자가 자진해 사퇴한 게 아니라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했다는 건 야당의 의견을 일부 수용한 거라고 주장하며 마찬가지로 대승적 결단을 해달라고 요구합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강선우 후보자만 문제가 아니라 부처의 기본 철학과 강령에 맞지 않는 부적격 후보자들이 많다고 평가합니다.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특히,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를 거론했는데요.
안 후보자를 향해서는 국방부 장관이 되겠다는 사람이 병적증명서 하나 떳떳하게 내지 못하고 있고, 권 후보자 역시 보훈 전문성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단 여야는 오늘 환경부 김성환, 고용노동부 김영훈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논의합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 김영훈 후보자는, '북한 주적' 논란과 노동 철학 등 야당의 '무자격 6적'으로 언급된 바 있어서, 보고서 채택이 난항을 겪을 거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갑질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을 시사하면서 정치권 파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갑질 의혹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라며 철벽 방어에 나섰고, 국민의힘은 아부는 통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다연 기자!
인사 관련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죠, 여야 입장 각각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 것보다는,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임명 움직임에 여론이 더 집중되는 것 같습니다.
민주당은 강 후보자의 경우 자질이나 전문성 논란은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YTN 라디오에 나와, 다른 의혹은 대체로 소명이 됐고, 갑질이라는 게 아무래도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고 옹호했는데,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김현정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YTN 라디오 '뉴스 파이팅, 김영수입니다') : 갑질은 아무래도 좀 상대적이고 좀 주관적인 측면이 있지 않습니까? 최근에는 사실 전·현직 보좌진의 반대된 진술도 많이 나왔다고 합니다.]
민주당은 인사권자, 그러니까 대통령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요.
하지만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 후보자에 대한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건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갑질을 독려하는 이재명식 인사', '정권실패 지름길' 등 비난이 터져 나왔습니다.
앞으로 강 후보자가 상임위원회와 본회의에서 활동할 때 장관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도 엄포를 놨습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아침 회의에서 한마디 해명도 없이 임명을 강행한 건, 불통 정권임을 자인하는 '2차 인사 참사'라고 비판했습니다.
충성심과 보은을 기준으로 자리를 주는 '1차 인사 참사'보다 더하다는 겁니다.
발언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송언석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국민의 상식에 맞서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로 읽힙니다. 갑질 불패, 아부 불패, 측근불패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강선우 장관 후보자의 '예산 갑질'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정영애 전 여성가족부 장관은 어제(20일) 지인들과의 SNS 채팅방에, 지역구 민원 때문에 관련도 없는 예산을 삭감하는 갑질 의원을 여가부 장관으로 보낸다니 기가 막힌다고 적었습니다.
정 전 장관은 당시 국회 여성가족위원이었던 강 후보자가 자신의 지역구에 '해바라기 센터'를 설치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는데, 그러자 강 후보자가 화를 내며 여가부 기획조정실 예산 일부를 삭감했다고 회상했습니다.
결국, 정 전 장관이 의원실을 찾아가 사과하고 한 소리를 들은 뒤에야 예산이 복원됐다고 회상했습니다.
[앵커]
이런 분위기가, 다른 후보자의 청문 보고서 채택에도 영향을 미칠까요?
[기자]
지명이 철회된 이진숙 후보자를 빼면 10명이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민주당은 일단, 국민의힘이 협조하지 않으면 여당 단독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합니다.
야당의 비협조를 '국정 발목잡기'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특히 이진숙 후보자가 자진해 사퇴한 게 아니라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했다는 건 야당의 의견을 일부 수용한 거라고 주장하며 마찬가지로 대승적 결단을 해달라고 요구합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강선우 후보자만 문제가 아니라 부처의 기본 철학과 강령에 맞지 않는 부적격 후보자들이 많다고 평가합니다.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특히,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를 거론했는데요.
안 후보자를 향해서는 국방부 장관이 되겠다는 사람이 병적증명서 하나 떳떳하게 내지 못하고 있고, 권 후보자 역시 보훈 전문성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단 여야는 오늘 환경부 김성환, 고용노동부 김영훈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논의합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 김영훈 후보자는, '북한 주적' 논란과 노동 철학 등 야당의 '무자격 6적'으로 언급된 바 있어서, 보고서 채택이 난항을 겪을 거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