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를 열고, 국내외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주로 폭염 등 여름철 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할 거로 보이는데,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 대미 관세 협상 대책도 다룰지 주목됩니다.
이 대통령 공개회의 모두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그 사이에 또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과거와 달리 장마가 일찍 끝났고 폭염이 아주 극심해지고 있습니다.
117년 만에 가장 심한 무더위라는 얘기도 있던데. 기후변화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이에 대한 대응도 부족함이 없어야겠습니다.
제가 오전에 말씀을 잠깐 드리기는 했는데 폭염으로 인한 여러 피해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취약계층들이 폭염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고통 겪지 않도록 가능한 대책들을 신속하게 집행해야 될 텐데 그중에 각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무더위 쉼터들이 있는데 그게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활용되고 있는지 제대로 체크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폭염에 따른 농어가들 대책도 챙겨봐야 될 것 같습니다.
유례없는 폭염 때문에 가축 폐사가 급증한다고 합니다. 축산농가들의 고통이 큰데 관계부처들이 소방차나 가축방역차량 등을 활용해서 급수를 조속하게 실시하고 발빠른 재난안전 특교세 지원을 통해서 차광막, 영양제 등등을 신속하게 지급할 수 있도록 조치하기 바랍니다.
양식어가들 피해가 큰 것 같습니다.
수산생물안전, 어업인들의 소중한 재산 피해가 더 커지지 않도록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겠습니다.
관계부처들이 민관과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서 현장 중심의 신속재난대응팀을 구성해 주기를 바랍니다.
아울러서 출하가 가능한 생물들은 조기 출하를 유도하고 비상품원은 조기 수매한다든지 양식장 필수 대응장비를 지원한다든지 양식재해원가를 확대한다든지 하는 대책도 추진해 주기 바랍니다.
자연재해 자체야 막을 수 없겠지만 그 피해 확대를 막을 수는 있습니다.
기록적인 폭염에서 우리 국민들의 건강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각 부처가 가용한 행정력을 총동원해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소비쿠폰 집행이 곧 이루어지게 될 것 같습니다.
지금 경제 상황이 너무 안 좋고 특히 골목상권, 취약계층, 서민들 경제 상황이 너무 안 좋습니다.
빠른 경제 회복을 위해 민생의 모세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의 경영 안전이 급선무입니다.
지난해에 폐업한 사업자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하는데 참으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내수도 극도로 위축된 상황이어서 정부가 역량을 총동원해서 소비 촉진, 내수 진작에 힘을 써야 되겠습니다.
오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인데 휴가철 등을 맞아서 지급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이 다양한 소비촉진 프로그램을 가동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내수 회복을 이어갈 수 있는 후속대책들도 선제적으로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를 열고, 국내외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주로 폭염 등 여름철 재난 대응 체계를 점검할 거로 보이는데,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 대미 관세 협상 대책도 다룰지 주목됩니다.
이 대통령 공개회의 모두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그 사이에 또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과거와 달리 장마가 일찍 끝났고 폭염이 아주 극심해지고 있습니다.
117년 만에 가장 심한 무더위라는 얘기도 있던데. 기후변화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이에 대한 대응도 부족함이 없어야겠습니다.
제가 오전에 말씀을 잠깐 드리기는 했는데 폭염으로 인한 여러 피해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취약계층들이 폭염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고통 겪지 않도록 가능한 대책들을 신속하게 집행해야 될 텐데 그중에 각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무더위 쉼터들이 있는데 그게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활용되고 있는지 제대로 체크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폭염에 따른 농어가들 대책도 챙겨봐야 될 것 같습니다.
유례없는 폭염 때문에 가축 폐사가 급증한다고 합니다. 축산농가들의 고통이 큰데 관계부처들이 소방차나 가축방역차량 등을 활용해서 급수를 조속하게 실시하고 발빠른 재난안전 특교세 지원을 통해서 차광막, 영양제 등등을 신속하게 지급할 수 있도록 조치하기 바랍니다.
양식어가들 피해가 큰 것 같습니다.
수산생물안전, 어업인들의 소중한 재산 피해가 더 커지지 않도록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겠습니다.
관계부처들이 민관과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서 현장 중심의 신속재난대응팀을 구성해 주기를 바랍니다.
아울러서 출하가 가능한 생물들은 조기 출하를 유도하고 비상품원은 조기 수매한다든지 양식장 필수 대응장비를 지원한다든지 양식재해원가를 확대한다든지 하는 대책도 추진해 주기 바랍니다.
자연재해 자체야 막을 수 없겠지만 그 피해 확대를 막을 수는 있습니다.
기록적인 폭염에서 우리 국민들의 건강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각 부처가 가용한 행정력을 총동원해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소비쿠폰 집행이 곧 이루어지게 될 것 같습니다.
지금 경제 상황이 너무 안 좋고 특히 골목상권, 취약계층, 서민들 경제 상황이 너무 안 좋습니다.
빠른 경제 회복을 위해 민생의 모세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의 경영 안전이 급선무입니다.
지난해에 폐업한 사업자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하는데 참으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내수도 극도로 위축된 상황이어서 정부가 역량을 총동원해서 소비 촉진, 내수 진작에 힘을 써야 되겠습니다.
오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인데 휴가철 등을 맞아서 지급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이 다양한 소비촉진 프로그램을 가동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내수 회복을 이어갈 수 있는 후속대책들도 선제적으로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