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현재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서 집중 유세를 벌이고 있습니다.
기득권 세력인 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를 싸잡아 비판하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한 표를 행사해줄 것을 촉구할 거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준석]
대한민국, 다이내믹한 나라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선거, 이제 채 6일 정도 남은 상황인데요.
이 6일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솔직히 아무도 모릅니다.
왜냐, 우리는 이미 2024년 4월, 기적을 만들어냈던 개혁신당 아닙니까, 여러분.
사실 저의 정치의 시작은 여당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것을 갖춘 공간에서 정치를 한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야당 대표도 지내봐서 큰 야당을 해 본다는 것도 어떤 느낌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3당이라고 하는, 제3지대라고 하는 이 영역은 언제 어떤 상황에서 맞이해도 항상 새롭고 항상 결말이 열려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당장 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도 많이 열려 있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 들어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준석이 어떻게 할까, 궁금해했습니다.
이준석이 앞으로 선거를 뛰면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토론에서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결국 당선되면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그때마다 저는 이야기했습니다.
압도적 새로움을 보여주겠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여러분 이제 준비되셨습니까?
사실 저는 왜 이렇게 어려운 정치를 해야 하는 것일까, 제 스스로도 많이 고민을 합니다.
제가 정치 시작한 뒤로 결국 기득권에 저항하고 기득권에 순치되지 않고 그렇게 살아왔던 것이 벌써 10년이 넘었습니다.
그랬더니만 결국 제 팔뚝에는, 제 다리 곳곳에는 그런 과정 속에서 생긴 많은 상처들과 생채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제가 정치 하면서 어떤 길로 갈까 흔들림이 있을 때는 딱 한 가지만 봐라.
내가 나중에 30년, 40년 뒤에 나를 돌아봤을 때 떳떳한 판단, 부끄럽지 않은 판단을 하라는 것이 저의 선택의 기준이었고 그 길을 오다 보니 지금 이 자리에 서 있습니다.
우리 개혁신당의 동지 여러분, 그리고 지지자 여러분.
우리가 가는 길이 굉장히 당당한 길이고 우리가 가는 길은 나중에 절대 부끄럽지 않은 그런 길이 될 겁니다.
여러분 함께하시겠습니까?
저는 항상 내가 오늘을 바르게 살았는지 저녁에 잠이 들 때쯤 되돌아보곤 합니다.
내가 오늘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했는지 오늘 나는 더 많은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얼마나 더 많은 사람에게 희망을 줬는지 이런 걸 고민하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의 선거 캠페인을 보면 한 가지 확실한 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선거 기간에 돌입한 이후로 우리는 흔히 누가 조롱했던 0%, 1% 지지율에서 오늘자 발표에 따르면 14%까지 갔습니다.
우리는 하루하루 성장하면서 매일매일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지향하면서 살아가는 그런 사람들입니다.
스스로 자랑스럽지 않습니까, 여러분!
대한민국 정치를 하다 보면 지난 80년 동안 대한민국 정치권에서 정치권과 언론과 기득권에게 각인된 성공방정식이나 관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에서 벗어난 판단을 하면 보통 타박받기 일쑤입니다.
왜 너는 대한민국의 정립된 방식대로 살아가지 않느냐, 왜 지금 상황에서 너 혼자 모난 돌이 되려고 하느냐.
이런 얘기를 듣기 십상입니다.
그런데 저는 확실합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관성을 탈피하지 못하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우상향 곡선이 꺾이고 하강하는 곡선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그런 위기감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는 대한민국 정치의, 대한민국의 판을 완전 갈아엎어서 다시 한 번 도약해야 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여러분?
정말 이번 선거 과정 동안 우리 당원들께서, 지지자들께서 보여주신 열정 그리고 보여주신 창의력이라는 건 정말 놀라웠습니다.
우리 유세차 4대 가지고 시작했는데 중간에 유세차가 새끼를 달았습니다.
그래서 유세차가 5대가 되는 기적을 보면서 대한민국의 선거 과정 중에 유세차가 새끼를 다는 일은 아마 우리가 처음 이뤄낸 것일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너무 자랑스럽고 무엇보다도 대한민국이 우리를 주목하고 있다 그런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저 대한민국 정치에서 14년 동안 끊이지 않는 도돌이표를 겪어온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때로는 힘들어할 때도 있습니다.
왜 나는 분명히 4년 전에, 5년 전에 극복했다고 생각하는 지점을 다시 돌파하려고 노력하는 것인가, 이런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왜 분명히 4년 전에 김종인 위원장과 이준석이 만들어놓은 보수라는 것은 젊은 세대가 다가오고 중도층이 호응하며 수도권에서도 먹히는 그런 보수였는데 왜 지금의 보수라고 하는 것은 다시 관성대로 돌아가서 국민들의 미움을 받는 존재가 되었을까.
나는 또 어떤 숙명을 가지고 이것을 살려내기 위해서 지금 이 자리에서 노력해야 되는 것인가. 이 길을 겪을 때마다 왜 나는 지나간 길인데 다시 가야 되는 것인지, 이렇게 고민합니다.
하지만 이제 하나씩 대한민국의 변화를 불가역적으로 다시 되돌아가지 않도록 만들어내기 위해서 우리만의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현재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서 집중 유세를 벌이고 있습니다.
기득권 세력인 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를 싸잡아 비판하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한 표를 행사해줄 것을 촉구할 거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준석]
대한민국, 다이내믹한 나라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선거, 이제 채 6일 정도 남은 상황인데요.
이 6일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솔직히 아무도 모릅니다.
왜냐, 우리는 이미 2024년 4월, 기적을 만들어냈던 개혁신당 아닙니까, 여러분.
사실 저의 정치의 시작은 여당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것을 갖춘 공간에서 정치를 한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야당 대표도 지내봐서 큰 야당을 해 본다는 것도 어떤 느낌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3당이라고 하는, 제3지대라고 하는 이 영역은 언제 어떤 상황에서 맞이해도 항상 새롭고 항상 결말이 열려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당장 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도 많이 열려 있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 들어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준석이 어떻게 할까, 궁금해했습니다.
이준석이 앞으로 선거를 뛰면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토론에서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결국 당선되면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
그때마다 저는 이야기했습니다.
압도적 새로움을 보여주겠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여러분 이제 준비되셨습니까?
사실 저는 왜 이렇게 어려운 정치를 해야 하는 것일까, 제 스스로도 많이 고민을 합니다.
제가 정치 시작한 뒤로 결국 기득권에 저항하고 기득권에 순치되지 않고 그렇게 살아왔던 것이 벌써 10년이 넘었습니다.
그랬더니만 결국 제 팔뚝에는, 제 다리 곳곳에는 그런 과정 속에서 생긴 많은 상처들과 생채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제가 정치 하면서 어떤 길로 갈까 흔들림이 있을 때는 딱 한 가지만 봐라.
내가 나중에 30년, 40년 뒤에 나를 돌아봤을 때 떳떳한 판단, 부끄럽지 않은 판단을 하라는 것이 저의 선택의 기준이었고 그 길을 오다 보니 지금 이 자리에 서 있습니다.
우리 개혁신당의 동지 여러분, 그리고 지지자 여러분.
우리가 가는 길이 굉장히 당당한 길이고 우리가 가는 길은 나중에 절대 부끄럽지 않은 그런 길이 될 겁니다.
여러분 함께하시겠습니까?
저는 항상 내가 오늘을 바르게 살았는지 저녁에 잠이 들 때쯤 되돌아보곤 합니다.
내가 오늘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했는지 오늘 나는 더 많은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얼마나 더 많은 사람에게 희망을 줬는지 이런 걸 고민하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의 선거 캠페인을 보면 한 가지 확실한 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선거 기간에 돌입한 이후로 우리는 흔히 누가 조롱했던 0%, 1% 지지율에서 오늘자 발표에 따르면 14%까지 갔습니다.
우리는 하루하루 성장하면서 매일매일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지향하면서 살아가는 그런 사람들입니다.
스스로 자랑스럽지 않습니까, 여러분!
대한민국 정치를 하다 보면 지난 80년 동안 대한민국 정치권에서 정치권과 언론과 기득권에게 각인된 성공방정식이나 관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에서 벗어난 판단을 하면 보통 타박받기 일쑤입니다.
왜 너는 대한민국의 정립된 방식대로 살아가지 않느냐, 왜 지금 상황에서 너 혼자 모난 돌이 되려고 하느냐.
이런 얘기를 듣기 십상입니다.
그런데 저는 확실합니다.
지금 대한민국의 관성을 탈피하지 못하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우상향 곡선이 꺾이고 하강하는 곡선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그런 위기감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는 대한민국 정치의, 대한민국의 판을 완전 갈아엎어서 다시 한 번 도약해야 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여러분?
정말 이번 선거 과정 동안 우리 당원들께서, 지지자들께서 보여주신 열정 그리고 보여주신 창의력이라는 건 정말 놀라웠습니다.
우리 유세차 4대 가지고 시작했는데 중간에 유세차가 새끼를 달았습니다.
그래서 유세차가 5대가 되는 기적을 보면서 대한민국의 선거 과정 중에 유세차가 새끼를 다는 일은 아마 우리가 처음 이뤄낸 것일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너무 자랑스럽고 무엇보다도 대한민국이 우리를 주목하고 있다 그런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저 대한민국 정치에서 14년 동안 끊이지 않는 도돌이표를 겪어온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때로는 힘들어할 때도 있습니다.
왜 나는 분명히 4년 전에, 5년 전에 극복했다고 생각하는 지점을 다시 돌파하려고 노력하는 것인가, 이런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왜 분명히 4년 전에 김종인 위원장과 이준석이 만들어놓은 보수라는 것은 젊은 세대가 다가오고 중도층이 호응하며 수도권에서도 먹히는 그런 보수였는데 왜 지금의 보수라고 하는 것은 다시 관성대로 돌아가서 국민들의 미움을 받는 존재가 되었을까.
나는 또 어떤 숙명을 가지고 이것을 살려내기 위해서 지금 이 자리에서 노력해야 되는 것인가. 이 길을 겪을 때마다 왜 나는 지나간 길인데 다시 가야 되는 것인지, 이렇게 고민합니다.
하지만 이제 하나씩 대한민국의 변화를 불가역적으로 다시 되돌아가지 않도록 만들어내기 위해서 우리만의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