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공약인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를 두고, 자신이 갑자기 긴급 재정명령으로 시행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들이 꽤 있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 후보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경제 5단체와 함께한 대선후보 초청 간담회에서, 그런다고 자신에게 개인적 이익이 생기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 할 이유가 뭐가 있느냐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복지혜택이나 사회적 안전망 확보 등이 갖춰지는 전제 아래 사회가 점진적으로 그렇게 가야 한다는 뜻이라며, 사회적 대화를 하고 합의되는 단계를 따르자고 제안했습니다.
또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허용 논쟁을 예로 들며, 당시 노동자와 기업 양쪽 이야기에 별 차이도 없는데 싸우고 있더라며 서로 대화가 끊기고 정치적으로 악용해 쓸데없이 싸운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후보는 상속세 완화 문제에는, 가업 상속 특례가 매출 5천억 원까지 완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또 늘리기는 국민이 수용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지적했습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후보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경제 5단체와 함께한 대선후보 초청 간담회에서, 그런다고 자신에게 개인적 이익이 생기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 할 이유가 뭐가 있느냐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복지혜택이나 사회적 안전망 확보 등이 갖춰지는 전제 아래 사회가 점진적으로 그렇게 가야 한다는 뜻이라며, 사회적 대화를 하고 합의되는 단계를 따르자고 제안했습니다.
또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허용 논쟁을 예로 들며, 당시 노동자와 기업 양쪽 이야기에 별 차이도 없는데 싸우고 있더라며 서로 대화가 끊기고 정치적으로 악용해 쓸데없이 싸운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후보는 상속세 완화 문제에는, 가업 상속 특례가 매출 5천억 원까지 완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또 늘리기는 국민이 수용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지적했습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