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손 없는 광복군 17명 유해, 77년 만에 국립묘지로 이장

후손 없는 광복군 17명 유해, 77년 만에 국립묘지로 이장

2022.08.12. 오전 01:0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젊은 나이에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던 광복군 17명, 후손이 없어 지금까지 서울 수유리의 합동 묘소에 안장돼있었는데요.

오는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선열들의 유해를 광복 77년 만에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하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방부 의장대가 태극기로 감싼 작은 관을 운구합니다.

수유리 합동묘지 봉분 1기에 함께 안장됐던 광복군 17명의 유해를 국립묘지로 이장하는 절차가 시작된 겁니다.

중국에서 정보수집 활동을 하다 체포된 뒤 순국한 백정현 지사와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창설했다 피살된 현이평 지사 등 광복군 17명.

광복 직후 국립묘지가 없어 한 곳에 묻혔고, 젊은 나이에 목숨을 잃어 이장을 신청할 후손조차 없었던 탓에 지금까지 국립묘지로의 이장도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그러다 이들 광복군 선열을 기리고 끝까지 책임진다며 국가가 처음으로 이장을 추진하면서

광복 77년 만에 국립묘지로 옮겨지게 됐습니다.

[백공수 / 광복군 백정현 지사 조카 : 저희는 아버님(형제)이 계시다 보니까 훈장도 받으시고 공적에 대해서도 많이 듣고 열사로 되어있지만, 주위에 보면 없는 사람이 많습니다." "여태까지 수유리에 계속 계시다가 이장해 주신다니까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는 14일, 대전현충원에서 안장식을 진행할 계획인데 그전까지 서울현충원에 임시 안치하고, 온·오프라인 '국민 추모·참배 기간'을 운영합니다.

보훈처는 앞서 윤동주·송몽규 지사와 홍범도 장군 등 호적이 없었던 독립 선열 156명의 가족관계등록부도 만들었습니다.

역시 호적을 신청할 직계 후손이 없어 대한민국 국민임을 보여주는 공적서류가 없었는데 올해 처음으로 정부 직권으로 만든 것입니다.

보훈처는 독립유공자들을 기리는 것은 후손의 마땅한 책무라며 앞으로 타국에 잠든 독립영웅들의 유해도 모시기 위해 힘을 쏟을 방침입니다.

YTN 한연희입니다.



YTN 한연희 (kyoj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