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갈등, 한미일 협력 장애 요인으로 꼽혀
"北 도발 대응 분야부터 협력 시작 필요" 지적
한일 갈등이 협력 제약하면 美 중재 역할 커질 듯
"北 도발 대응 분야부터 협력 시작 필요" 지적
한일 갈등이 협력 제약하면 美 중재 역할 커질 듯
AD
[앵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커질수록, 한미일 3국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악화한 한일 관계가 3국 협력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서, 안보 분야 협력을 계기로 한일 갈등에도 변화가 올지 주목됩니다.
홍주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 차관 협의회.
회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엔 그러나 미국 국무부 부장관만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일본 측이 한국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에 항의하며 공동 기자 회견을 거부한 탓입니다.
7개월 뒤 서울, 이번엔 세 나라 차관들이 손을 맞잡았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도발에 맞서 한미일 안보 협력을 진전시키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조현동 / 외교부 1차관 : 한미일 3국은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면서 최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가 한반도 및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는 공동의 인식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이 3국 협력으로 얻으려는 건 단순히 북한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한층 복잡해진 국제 정세에서 민주주의 진영의 결속도 꾀하고 있습니다.
[웬디 셔먼 / 미국 국무부 부장관 :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가장 강력하고 가까운 동맹국입니다. 우리 세 나라가 함께하면 이루지 못할 게 없습니다.]
하지만 한일 갈등은 한미일 협력의 약한 고리로 지적됩니다.
강제 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같은 과거사 문제와 일본의 수출 규제 등 현안이 만만치 않습니다.
일각에선 북한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 공유나 감시 태세 구축 등 3국의 공동 목표가 뚜렷한 분야부터 협력 체제를 가동해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차두현 /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갈등 상황은 어차피 단기적으로 해결되기가 힘듭니다. 해결되지 않은 과제를 계속 갖고 가더라도 같이 해결할 수 있는 분야의 과제들 같은 것은 지금부터라도 협력을 넓혀나가는 습관을 만들어야 된다는 거죠.]
동북아 안보와 한일관계를 우선 분리해 대응하는 투 트랙 방안인데,
안보 협력으로 신뢰를 쌓더라도 국민적 감정이 얽혀있는 한일갈등까지 쉽게 풀릴지는 미지수입니다.
특히 한일갈등이 안보협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협력을 바라는 미국의 중재역할도 커질 것으로 예상돼, 한일갈등까지 해소하는 계기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될 전망입니다.
YTN 홍주예입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커질수록, 한미일 3국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악화한 한일 관계가 3국 협력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서, 안보 분야 협력을 계기로 한일 갈등에도 변화가 올지 주목됩니다.
홍주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 차관 협의회.
회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엔 그러나 미국 국무부 부장관만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일본 측이 한국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에 항의하며 공동 기자 회견을 거부한 탓입니다.
7개월 뒤 서울, 이번엔 세 나라 차관들이 손을 맞잡았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도발에 맞서 한미일 안보 협력을 진전시키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조현동 / 외교부 1차관 : 한미일 3국은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하면서 최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가 한반도 및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는 공동의 인식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이 3국 협력으로 얻으려는 건 단순히 북한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한층 복잡해진 국제 정세에서 민주주의 진영의 결속도 꾀하고 있습니다.
[웬디 셔먼 / 미국 국무부 부장관 :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가장 강력하고 가까운 동맹국입니다. 우리 세 나라가 함께하면 이루지 못할 게 없습니다.]
하지만 한일 갈등은 한미일 협력의 약한 고리로 지적됩니다.
강제 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같은 과거사 문제와 일본의 수출 규제 등 현안이 만만치 않습니다.
일각에선 북한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 공유나 감시 태세 구축 등 3국의 공동 목표가 뚜렷한 분야부터 협력 체제를 가동해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차두현 /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갈등 상황은 어차피 단기적으로 해결되기가 힘듭니다. 해결되지 않은 과제를 계속 갖고 가더라도 같이 해결할 수 있는 분야의 과제들 같은 것은 지금부터라도 협력을 넓혀나가는 습관을 만들어야 된다는 거죠.]
동북아 안보와 한일관계를 우선 분리해 대응하는 투 트랙 방안인데,
안보 협력으로 신뢰를 쌓더라도 국민적 감정이 얽혀있는 한일갈등까지 쉽게 풀릴지는 미지수입니다.
특히 한일갈등이 안보협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협력을 바라는 미국의 중재역할도 커질 것으로 예상돼, 한일갈등까지 해소하는 계기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될 전망입니다.
YTN 홍주예입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