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부적격 혈액 수혈 5년간 2만 8천 건...당사자에 통보도 안 해"

감사원 "부적격 혈액 수혈 5년간 2만 8천 건...당사자에 통보도 안 해"

2021.10.26. 오후 4:0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지난 2016년부터 5년 동안 부적격 혈액 수혈이 2만 8천여 건 발생했지만, 수혈 당사자에게는 이 같은 사실이 통보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사원은 대한적십자사 감사 결과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동안 대한적십자사 소속 각 혈액원에서 부적격혈액 3만 2천여 유닛(unit) 가운데 88.5%인 2만 8천여 유닛이 수혈됐으나 해당 사실을 수혈자에게 통보한 사례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부적격 혈액의 대부분(83%)은 말라리아 유행 지역을 여행하거나 거주한 사람들의 혈액이었지만 일부(4.8%)는 B형 간염이나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등 감염병 위험이 높은 혈액이었습니다.

감사원은 2016년 혈액관리법 개정으로 혈액원이 사고 발생위험이 있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수혈자에게 이를 알려야 하지만, 보건복지부가 통보기준을 하위법령에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않아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서울 등 5개 적십자병원은 2018년 11월 이후 마약류 처방을 기록하는 전산시스템을 도입했지만, 부재중인 의사가 원내처방전을 발행한 것으로 기재한 사례가 45건에 달하는 등 마약류 관리는 여전히 허술했습니다.

수면내시경 검진에 사용된 프로포폴 주사제의 경우 상주적십자병원은 최근 4년간 전산 기록보다 평균 40% 적게 투약하고 남은 6천 앰플을 임의로 폐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이재윤 (jyle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