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역사적인 6·15 남북공동선언이 나온 지 20년이 흘렀습니다만 최근 남북관계는 2000년 이전으로 돌아간 것처럼 삼엄합니다.
북한은 오늘도 "서릿발치는 보복에 나서겠다"며 비난 공세를 이어갔는데, 정부는 남북 간 합의는 남북 모두 준수해야 한다며 애써 목소리를 낮췄습니다.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년 전 남북 정상이 합의한 남북공동선언!
[김대중 / 당시 대통령(2000년 6월) : 우리 두 사람이 공동성명에 대해 완전히 합의를 봤습니다. 여러분, 축하해주십시오.]
남북이 함께 경축해야 할 날이지만, 북한은 비난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6·15 20주년에 대한 언급은 한마디도 없이 남북 관계는 우리 정부의 적대시 정책과 무능한 처사로 최악의 긴장상태가 됐다면서, 끝장을 볼 때까지 연속적인 행동으로 보복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지난 13일 김여정 제1부부장의 담화와 같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고, 그 다음 대적 행동의 행사권을 넘겨받은 군대가 인민의 원한을 풀어줄 단호한 행동을 개시할 거라고 위협했습니다.
북측의 압박 수위가 날로 높아가는데도 정부는 최대한 낮은 수위로 대응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습니다.
다만 정부는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남북 간 합의는 남과 북이 모두 준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말로 갈음했습니다.
단독 행사지만 '평화가 온다'는 슬로건으로 성대히 치르려던 6·15 20주년 기념행사도 축소 조정했습니다.
[여상기 / 통일부 대변인 : 지난 20년간 여러 난관에도 불구하고 남북관계는 6.15 선언의 정신 위에서 진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정부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계속 노력해나가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제정과 4대 남북합의의 국회 비준을 촉구했습니다.
비대위는 남북관계가 악화한 건 정부가 남북 합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정부의 안이한 대처를 비난했습니다.
YTN 황혜경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역사적인 6·15 남북공동선언이 나온 지 20년이 흘렀습니다만 최근 남북관계는 2000년 이전으로 돌아간 것처럼 삼엄합니다.
북한은 오늘도 "서릿발치는 보복에 나서겠다"며 비난 공세를 이어갔는데, 정부는 남북 간 합의는 남북 모두 준수해야 한다며 애써 목소리를 낮췄습니다.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년 전 남북 정상이 합의한 남북공동선언!
[김대중 / 당시 대통령(2000년 6월) : 우리 두 사람이 공동성명에 대해 완전히 합의를 봤습니다. 여러분, 축하해주십시오.]
남북이 함께 경축해야 할 날이지만, 북한은 비난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6·15 20주년에 대한 언급은 한마디도 없이 남북 관계는 우리 정부의 적대시 정책과 무능한 처사로 최악의 긴장상태가 됐다면서, 끝장을 볼 때까지 연속적인 행동으로 보복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지난 13일 김여정 제1부부장의 담화와 같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고, 그 다음 대적 행동의 행사권을 넘겨받은 군대가 인민의 원한을 풀어줄 단호한 행동을 개시할 거라고 위협했습니다.
북측의 압박 수위가 날로 높아가는데도 정부는 최대한 낮은 수위로 대응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습니다.
다만 정부는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남북 간 합의는 남과 북이 모두 준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말로 갈음했습니다.
단독 행사지만 '평화가 온다'는 슬로건으로 성대히 치르려던 6·15 20주년 기념행사도 축소 조정했습니다.
[여상기 / 통일부 대변인 : 지난 20년간 여러 난관에도 불구하고 남북관계는 6.15 선언의 정신 위에서 진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정부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계속 노력해나가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제정과 4대 남북합의의 국회 비준을 촉구했습니다.
비대위는 남북관계가 악화한 건 정부가 남북 합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정부의 안이한 대처를 비난했습니다.
YTN 황혜경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