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국제평화지대화...UN기구 주재 가능할까

DMZ 국제평화지대화...UN기구 주재 가능할까

2019.09.25. 오후 9:5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UN 총회에서 화두로 던진 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은 완전히 새로운 내용은 아닙니다.

그동안 남북이 조금씩 이뤄온 합의를 상황에 맞게 조정해 종합한 것으로, 역시 북한의 호응이 관건입니다.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9월 남북 정상이 평양에서 만나 약속한 서해경제공동특구 조성 협의.

개성과 해주, 인천을 연결해 산업·물류 중심의 남북 경협 특구로 추진하려 했지만, 결국 시작도 못 했습니다.

발판이 될 개성공단은 1년이 넘도록 재개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고, 남북 관계도 북미 회담 결렬의 영향으로 계속 소강상태에 놓였기 때문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새롭게 제안한 평화협력지구는 북미 협상의 진전 없이 실질적인 경제협력과 특구 조성이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재인 / 대통령 : 판문점과 개성을 잇는 지역을 평화협력지구로 지정하여 남과 북, 국제사회가 함께 한반도 번영을 설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꿔내고, 비무장 지대 내 유엔 기구 유치는 정치권과 학계를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지속된 주장입니다.]

남북 간 합의한 DMZ 공동 발굴과 지뢰 제거 등 군사협력이 번번이 북미 협상과 대북제재의 영향을 받게 되자 국제사회에 손을 내민 것으로 풀이됩니다.

함께 지뢰를 제거한 뒤 환경, 군축, 평화 등 여러 산하 기구를 입주시키자고 공식 제안한 셈인데,

남북 접경지역에서 광범위한 공동조사와 발굴이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북한이 얼마나 호응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이상민 / 통일부 대변인 : 지금 북측과의 구체적인 협의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기에는 조금 이른감이 있고요. 비무장지대 인접 부분까지 포함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의 검토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여기에 비무장지대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와의 협의도 필요해,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이 현실화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작지 않아 보입니다.

YTN 김지선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