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유권자 4명 가운데 1명 정도는 현재 지지하는 대선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고 답했습니다.
앞으로 후보를 바꾼다면 TV 토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앞으로도 계속 지지할 것인지 물어봤습니다.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70.5%, 현재 지지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고 답한 경우는 28.1%로 나타났습니다.
4명 가운데 1명꼴로 변경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
결국, 이들이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승패를 가를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지역별로는 호남 지역의 충성도가 가장 높은 반면, 대구·경북 지역, 그리고 강원과 제주 지역은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30대 이하보다 지지 후보를 바꾸지 않겠다고 답한 경우가 훨씬 많았습니다.
앞으로 남은 선거 운동 기간에 지지 후보를 바꾼다면 짧은 시간에 후보의 장단점이 드러나는 TV 토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V 토론 등을 보고 지지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는 응답자가 절반 가까이나 됐습니다.
후보 검증 여부나 당선 가능성보다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결국, 4명 가운데 1명 정도는 앞으로 수차례 더 진행될 TV 토론에서 지지 후보를 바꿀 가능성이 커 대선 구도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대건[dglee@ytn.co.kr]입니다.
조사의뢰: YTN·서울신문
조사기관: 엠브레인
조사일시: 4월 17일 오후 1시~ 밤 10시
조사대상 및 선정방법: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49명(가중 후 1,000명)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RDD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면접(유선 33.5%, 무선 66.5%)
응답률: 15.3% (유선 10.3%, 무선 20.3%)
가중치 부여: 성·연령·지역에 따른 사후 가중치 부여 2017년 3월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www.nesdc.g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권자 4명 가운데 1명 정도는 현재 지지하는 대선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고 답했습니다.
앞으로 후보를 바꾼다면 TV 토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앞으로도 계속 지지할 것인지 물어봤습니다.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70.5%, 현재 지지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고 답한 경우는 28.1%로 나타났습니다.
4명 가운데 1명꼴로 변경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
결국, 이들이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승패를 가를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지역별로는 호남 지역의 충성도가 가장 높은 반면, 대구·경북 지역, 그리고 강원과 제주 지역은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30대 이하보다 지지 후보를 바꾸지 않겠다고 답한 경우가 훨씬 많았습니다.
앞으로 남은 선거 운동 기간에 지지 후보를 바꾼다면 짧은 시간에 후보의 장단점이 드러나는 TV 토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V 토론 등을 보고 지지 후보를 바꿀 수도 있다는 응답자가 절반 가까이나 됐습니다.
후보 검증 여부나 당선 가능성보다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결국, 4명 가운데 1명 정도는 앞으로 수차례 더 진행될 TV 토론에서 지지 후보를 바꿀 가능성이 커 대선 구도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대건[dglee@ytn.co.kr]입니다.
조사의뢰: YTN·서울신문
조사기관: 엠브레인
조사일시: 4월 17일 오후 1시~ 밤 10시
조사대상 및 선정방법: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49명(가중 후 1,000명)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RDD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면접(유선 33.5%, 무선 66.5%)
응답률: 15.3% (유선 10.3%, 무선 20.3%)
가중치 부여: 성·연령·지역에 따른 사후 가중치 부여 2017년 3월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www.nesdc.g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