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장애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가 정작 장애인화장실에서는 사용이 쉽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새누리당 김순례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현행 장애인화장실 면적 기준은 지난 2005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수동휠체어 규격에 맞춰 가로·세로 각각 1.4m 이상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그러나,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의 회전 반경은 이보다 큰 1.8m에 달해 화장실 폭이 적어도 2m는 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또 장애인화장실 면적만큼은 건축 면적 제한 규정인 건폐율·용적률에서 제외해 화장실을 넓게 만들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지난 2014년 기준 11만 2천 명, 필요하다고 응답한 수도 26만 명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해마다 1만 명에 가까운 장애인에게 무상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새누리당 김순례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현행 장애인화장실 면적 기준은 지난 2005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수동휠체어 규격에 맞춰 가로·세로 각각 1.4m 이상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그러나,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의 회전 반경은 이보다 큰 1.8m에 달해 화장실 폭이 적어도 2m는 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의원은 또 장애인화장실 면적만큼은 건축 면적 제한 규정인 건폐율·용적률에서 제외해 화장실을 넓게 만들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지난 2014년 기준 11만 2천 명, 필요하다고 응답한 수도 26만 명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해마다 1만 명에 가까운 장애인에게 무상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