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우리 군이 북한 연평도 포격 도발 5년을 맞아 공식 명칭을 '포격전'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병대가 북한군 선제공격에 신속하게 대응한 점에 초점을 맞춘 조치로, 우리 군 승전을 공식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방부는 이러한 내용의 해병대 사령부 건의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병대는 사건 명칭을 포격 도발이라고 하면 북한국의 일방적 공격과 우리 군 피해에 무게가 실리지만, 포격전으로 바꾸면 우리 군 대응을 부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평도 포격 도발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북한군이 연평도에 방사포 170여 발을 기습적으로 발사하자 해병대 연평부대가 공격 13분 만에 K-9 자주포 80발 정도를 대응 사격한 사건입니다.
당시 교전으로 우리 해병 2명이 전사하고 16명이 다쳤으며, 북한군은 40여 명의 사상자가 나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국방부가 연평도 포격전으로 이름을 바꾸고 공식적으로 승전이라고 인정하면 전사자와 부상자 예우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선아 [leesa@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해병대가 북한군 선제공격에 신속하게 대응한 점에 초점을 맞춘 조치로, 우리 군 승전을 공식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방부는 이러한 내용의 해병대 사령부 건의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병대는 사건 명칭을 포격 도발이라고 하면 북한국의 일방적 공격과 우리 군 피해에 무게가 실리지만, 포격전으로 바꾸면 우리 군 대응을 부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평도 포격 도발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북한군이 연평도에 방사포 170여 발을 기습적으로 발사하자 해병대 연평부대가 공격 13분 만에 K-9 자주포 80발 정도를 대응 사격한 사건입니다.
당시 교전으로 우리 해병 2명이 전사하고 16명이 다쳤으며, 북한군은 40여 명의 사상자가 나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국방부가 연평도 포격전으로 이름을 바꾸고 공식적으로 승전이라고 인정하면 전사자와 부상자 예우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선아 [leesa@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