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공동 역사교과서 해법은?

동북아 공동 역사교과서 해법은?

2013.11.16. 오전 09:4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동북아 공동역사교과서 발간을 제안했는데요, 정작 한일 공동역사교과서 연구는 이미 지난 1990년대에 시작됐습니다.

꼬일대로 꼬인 한일관계를 근본적으로 풀기위해서는 교과서 문제에 대한 보다 장기적이고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최명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한일 역사 공동연구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6년입니다.

당시 김영삼 대통령과 무라야마 도미이치 일본 총리가 일본 정치인의 역사 관련 망언이 끊이지 않자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자며 공동연구에 합의했습니다.

일년 뒤 한일역사연구촉진공동위원회가 발족됐지만 위원회의 성격과 활동범위 문제가 불거져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했습니다.

2002년에도 한일 정상에 의한 또 한차례의 시도가 있었습니다.

이번엔 한일역사공동위원회가 발족돼 2009년까지 두차례의 공동 보고서를 내는 등 일부 성과를 내기도 했지만 이번엔 근현대사를 둘러싼 인식차가 발목을 잡았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 14일 박근혜 대통령의 동북아 공동역사교과서 발간 제안은 한일 양국은 물론 중국까지 포함된 역사 관련 위원회를 만들어 관계를 풀어보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인터뷰:박근혜, 대통령]
"동북아 공동의 역사교과서를 발간함으로써 동서유럽이 그랬던 것처럼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쌓아갈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일본은 '과거의 문제에 대해선 충분히 설명해왔다'며 일단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역사 관련 문제에 응할 경우 득보다는 실이 많다는 정치적인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역사 학자들은 공동 역사교과서 집필 문제가 제대로 논의되기 위해서는 동북아 학자들간의 의식 개선과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합니다.

[인터뷰:이명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한중일 삼국의 학자들이 모인다 하더라도 순수한 학자적인 마은드에서 출발하기 힘들다는 거죠. 결국은 국가를 등에 업고 거기 와서 토론을 한다는 그런 인식들이 강하기때문에 왠간해서는 양보하지 않는..."

또 서유럽 국가들이 공동교과서 발간까지 수십년을 인내했던 것처럼 한중일 3국간의 공식적인 역사 협의체 신설을 통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해 나가는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최명신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