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현대인들의 가장 큰 고민 가운데 하나가 비만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식욕을 조절하는 핵심유전자를 발견하고, 이 유전자의 활동체계를 처음으로 규명해 비만과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갈수록 늘고 있는 비만 인구.
운동부족도 원인이지만 무엇보다 유전적 요인과 음식물 섭취량이 문제입니다.
음식물 섭취를 결정하는 행동은 인체 내 여러 신경내분비 인자들에 의해 엄격히 조절되고 있습니다.
그 중 신경펩타이드가 섭식행동의 핵심인자로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발현의 조절이나 분자유전학적 요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권 박사팀이 인제대와 미국 브라운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섭식행동을 증가시키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고, 제어 기전을 처음으로 규명했습니다.
[인터뷰:곽수진, 생명공학연 노화과학연구센터]
"다운증후군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Dyrk 혹은 mnb이라고 하는 유전자가 식욕을 조절하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습니다. 특히 이 유전자는 sNPF 혹은 NPY라고 알려져 있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식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모델동물인 초파리와 마우스를 활용해 사람의 21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mnb 유전자가 섭식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mnb가 특정 신경세포에 과량으로 존재하는 초파리는 정상에 비해 식욕이 왕성해 먹이 섭취량이 60%이상 증가했고, 소량일 경우 섭취량이 3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nb의 발현이 억제됐을 때 섭식행동이 감소되고, 인슐린은 반대로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감소시켜 먹이 섭취량도 감소하는 결과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유권, 생명공학연 장수과학연구센터]
"대사질환 치료와 비만에 치료제 개발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대사질환들이 노화와 직접 관련이 있기 때문에 수명연장 연구에도 획기적으로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음식섭취를 유도하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신호전달체계를 명확히 밝힌 이번 연구는 유전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PLoS Genetics' 인터넷판에 실렸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대인들의 가장 큰 고민 가운데 하나가 비만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식욕을 조절하는 핵심유전자를 발견하고, 이 유전자의 활동체계를 처음으로 규명해 비만과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갈수록 늘고 있는 비만 인구.
운동부족도 원인이지만 무엇보다 유전적 요인과 음식물 섭취량이 문제입니다.
음식물 섭취를 결정하는 행동은 인체 내 여러 신경내분비 인자들에 의해 엄격히 조절되고 있습니다.
그 중 신경펩타이드가 섭식행동의 핵심인자로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발현의 조절이나 분자유전학적 요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권 박사팀이 인제대와 미국 브라운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섭식행동을 증가시키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고, 제어 기전을 처음으로 규명했습니다.
[인터뷰:곽수진, 생명공학연 노화과학연구센터]
"다운증후군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Dyrk 혹은 mnb이라고 하는 유전자가 식욕을 조절하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습니다. 특히 이 유전자는 sNPF 혹은 NPY라고 알려져 있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식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모델동물인 초파리와 마우스를 활용해 사람의 21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mnb 유전자가 섭식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mnb가 특정 신경세포에 과량으로 존재하는 초파리는 정상에 비해 식욕이 왕성해 먹이 섭취량이 60%이상 증가했고, 소량일 경우 섭취량이 3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nb의 발현이 억제됐을 때 섭식행동이 감소되고, 인슐린은 반대로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감소시켜 먹이 섭취량도 감소하는 결과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유권, 생명공학연 장수과학연구센터]
"대사질환 치료와 비만에 치료제 개발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대사질환들이 노화와 직접 관련이 있기 때문에 수명연장 연구에도 획기적으로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음식섭취를 유도하는 신경펩타이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신호전달체계를 명확히 밝힌 이번 연구는 유전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PLoS Genetics' 인터넷판에 실렸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