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교차로 사고 대부분은 운전자가 보행자를 보지 못하거나, 반대로 보행자가 차량 접근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사고를 예방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임늘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횡단보도 옆 전광판이 깜박이며 '보행자 접근 위험'을 표시합니다.
보행자가 도로에 들어서기 전에 운전자에게 위험 신호를 미리 알려주는 겁니다.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을 이용해 보행자의 이동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 진입 구간에 들어서면 센서가 작동해 신호를 보내는 방식인데, 이번 기술은 인공지능이 CCTV 영상을 통해 보행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분석해 진입을 예측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하기 약 3초 전에 운전자는 전광판을 통해 보행자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문진영 / ETRI 시각지능연구실 책임연구원 : 도로 환경을 자동으로 분석해 카메라가 보는 방향에 대해서 도로 환경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합니다. 그리고 보행자의 미래 경로를 예측해서 사전 알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는 경우에도 알림이 전송되는 오류가 잦았지만, 이번 기술은 보행자의 움직임을 예측해 횡단 가능성이 큰 경우만 선별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 설명입니다.
현재 이 시스템은 천안역과 터미널 등 4곳에서 실증 운용 중입니다.
[김석필 / 천안시장 권한대행 : 유동 인구와 차량 통행이 많은 천안역과 터미널 사거리에서 차세대 보행자 안전 서비스가 실증 운영됨으로써, 교통사고 예방과 시민들의 안전한 보행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물류센터나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는 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앞으로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해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기술도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YTN 사이언스 임늘솔 입니다.
영상편집 : 황유민
YTN 임늘솔 (sonamu@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교차로 사고 대부분은 운전자가 보행자를 보지 못하거나, 반대로 보행자가 차량 접근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사고를 예방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임늘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횡단보도 옆 전광판이 깜박이며 '보행자 접근 위험'을 표시합니다.
보행자가 도로에 들어서기 전에 운전자에게 위험 신호를 미리 알려주는 겁니다.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을 이용해 보행자의 이동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 진입 구간에 들어서면 센서가 작동해 신호를 보내는 방식인데, 이번 기술은 인공지능이 CCTV 영상을 통해 보행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분석해 진입을 예측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하기 약 3초 전에 운전자는 전광판을 통해 보행자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문진영 / ETRI 시각지능연구실 책임연구원 : 도로 환경을 자동으로 분석해 카메라가 보는 방향에 대해서 도로 환경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합니다. 그리고 보행자의 미래 경로를 예측해서 사전 알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는 경우에도 알림이 전송되는 오류가 잦았지만, 이번 기술은 보행자의 움직임을 예측해 횡단 가능성이 큰 경우만 선별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 설명입니다.
현재 이 시스템은 천안역과 터미널 등 4곳에서 실증 운용 중입니다.
[김석필 / 천안시장 권한대행 : 유동 인구와 차량 통행이 많은 천안역과 터미널 사거리에서 차세대 보행자 안전 서비스가 실증 운영됨으로써, 교통사고 예방과 시민들의 안전한 보행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물류센터나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는 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앞으로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해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기술도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YTN 사이언스 임늘솔 입니다.
영상편집 : 황유민
YTN 임늘솔 (sonamu@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