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해 이완구 전 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를 소환 조사했던 검찰이 보강 조사를 마무리 지은 뒤 다음 주쯤 두 사람을 일괄 기소할 방침입니다.
검찰은 리스트에 등장하는 나머지 6명에 대한 수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지만, 난관이 많다는 분석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김주영 기자! 이완구 전 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에 대한
수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분위기이군요?
[기자]
네, 검찰 특별수사팀은 이완구 전 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에 대한 조사 내용 검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앞서 검찰은 성 전 회장으로부터 1억 원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홍 지사를 지난 8일 불러 밤샘 조사를 벌였습니다.
이 전 총리 역시 그제 소환해 3천만 원 수수 의혹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검찰은 조사 과정에서 확보한 진술들을 분석하며 돈 전달 사실을 뒷받침할 추가 정황이 있는지 막바지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겁니다.
조사 과정에서 두 사람은 돈 수수 혐의에 대해 강력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홍 지사는 아내의 비자금까지 거론하며 성 전 회장의 돈을 받지 않았다고 강변했고,
이 전 총리도 의혹이 제기된 지난 2013년 4월 4일 성 전 회장과 독대하거나 돈 받은 사실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경남기업 관계자나 돈 전달자에 대한 다수 조사 등을 통해 혐의를 입증할 단서는 충분히 확보했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검찰은 다음 주쯤 두 사람을 한꺼번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할 방침입니다.
다만 두 사람이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고 있는 만큼 재판에서 벌어질 공방에 대비해 보강 증거 확보 작업에도 힘을 쏟을 예정입니다.
[앵커]
이제 관심은 나머지 리스트 등장 인물 관련 수사 여부인데요. 검찰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성완종 리스트 의혹을 풀기 위한 특별수사팀이 발족한 지 한 달이 조금 지났습니다.
이 전 총리와 홍 지사에 대한 기소 방침까지 나오면서 수사팀은 본격적인 2단계 수사 착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두 명을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 등장 인물 6명 각각에 대해 수사 착수 여부와 우선 순위를 결정하려는 겁니다.
검찰 관계자도 각 인물에 따라 수사 속도가 차이가 난다며 종합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앞서 조사를 받은 두 사람과 달리 나머지 인물들에 대해서는 돈 전달 여부를 입증할 구체적 정황이 없다는 점이 검찰로서는 부담입니다.
더구나 수사의 핵심 열쇠로 꼽히던 성 전 회장의 비밀장부 등 구체적인 물증도 나오지 않아 어려움은 더 클 전망입니다.
여기에 리스트 등장 인물 가운데 김기춘, 허태열 전 비서실장의 경우 의혹이 드러난다고 해도 공소시효가 지났고, 이병기 전 비서실장은 얼마가 어떻게 전달됐는지조차 특정되지 않아 수사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검찰은 경남기업 관계자들을 수시로 불러 나머지 인물들과 관련된 증거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와 별도로 검찰은 성 전 회장의 특별 사면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도 수사 착수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성 전 회장이 여야 의원 3명에게 모두 6억 원을 전달한 정황을 알고 있다는 성 전 회장 측 관계자의 주장에 대해서도 신빙성이 있을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서울고등검찰청에서 YTN 김주영[kimjy0810@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해 이완구 전 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를 소환 조사했던 검찰이 보강 조사를 마무리 지은 뒤 다음 주쯤 두 사람을 일괄 기소할 방침입니다.
검찰은 리스트에 등장하는 나머지 6명에 대한 수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지만, 난관이 많다는 분석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김주영 기자! 이완구 전 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에 대한
수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분위기이군요?
[기자]
네, 검찰 특별수사팀은 이완구 전 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에 대한 조사 내용 검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앞서 검찰은 성 전 회장으로부터 1억 원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홍 지사를 지난 8일 불러 밤샘 조사를 벌였습니다.
이 전 총리 역시 그제 소환해 3천만 원 수수 의혹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검찰은 조사 과정에서 확보한 진술들을 분석하며 돈 전달 사실을 뒷받침할 추가 정황이 있는지 막바지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겁니다.
조사 과정에서 두 사람은 돈 수수 혐의에 대해 강력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홍 지사는 아내의 비자금까지 거론하며 성 전 회장의 돈을 받지 않았다고 강변했고,
이 전 총리도 의혹이 제기된 지난 2013년 4월 4일 성 전 회장과 독대하거나 돈 받은 사실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경남기업 관계자나 돈 전달자에 대한 다수 조사 등을 통해 혐의를 입증할 단서는 충분히 확보했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검찰은 다음 주쯤 두 사람을 한꺼번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할 방침입니다.
다만 두 사람이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고 있는 만큼 재판에서 벌어질 공방에 대비해 보강 증거 확보 작업에도 힘을 쏟을 예정입니다.
[앵커]
이제 관심은 나머지 리스트 등장 인물 관련 수사 여부인데요. 검찰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성완종 리스트 의혹을 풀기 위한 특별수사팀이 발족한 지 한 달이 조금 지났습니다.
이 전 총리와 홍 지사에 대한 기소 방침까지 나오면서 수사팀은 본격적인 2단계 수사 착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두 명을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 등장 인물 6명 각각에 대해 수사 착수 여부와 우선 순위를 결정하려는 겁니다.
검찰 관계자도 각 인물에 따라 수사 속도가 차이가 난다며 종합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앞서 조사를 받은 두 사람과 달리 나머지 인물들에 대해서는 돈 전달 여부를 입증할 구체적 정황이 없다는 점이 검찰로서는 부담입니다.
더구나 수사의 핵심 열쇠로 꼽히던 성 전 회장의 비밀장부 등 구체적인 물증도 나오지 않아 어려움은 더 클 전망입니다.
여기에 리스트 등장 인물 가운데 김기춘, 허태열 전 비서실장의 경우 의혹이 드러난다고 해도 공소시효가 지났고, 이병기 전 비서실장은 얼마가 어떻게 전달됐는지조차 특정되지 않아 수사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검찰은 경남기업 관계자들을 수시로 불러 나머지 인물들과 관련된 증거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와 별도로 검찰은 성 전 회장의 특별 사면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도 수사 착수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성 전 회장이 여야 의원 3명에게 모두 6억 원을 전달한 정황을 알고 있다는 성 전 회장 측 관계자의 주장에 대해서도 신빙성이 있을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서울고등검찰청에서 YTN 김주영[kimjy0810@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