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비리 정조준...광물공사·석유공사 본격 수사

자원비리 정조준...광물공사·석유공사 본격 수사

2015.04.07. 오전 05: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경남기업 자원개발 비리에서 시작된 검찰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검찰은 경남기업과 함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나섰던 한국광물공사와 석유공사 등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승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지난 2006년 경남기업 등 국내 기업 일곱 곳과 마다가스카르 니켈 광산 컨소시엄을 구성해 5955억 원을 쏟아부었습니다.

하지만, 니켈 생산량이 당초 계획한 6만 톤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2만5천 톤에 불과하고, 예상 수익률 역시 2006년 26%대였던 것이 2013년 5%대로 급감해 사실상 실패한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당시 광물공사는 함께 투자에 참여한 경남기업에 일반융자로 130억 원을 빌려줬지만, 경남이 투자 여력이 안 돼 사업을 포기하자 사업지분까지 인수합니다.

그런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석연찮은 점들이 포착됩니다.

당시 2.75%의 지분을 가진 경남기업이 투자비를 조달하지 못하자 어찌된 일인지 광물공사가 투자비 171억 원을 대신 내줬고, 이후, 경남이 대납 투자비를 갚지 못하자 광물공사는 아예 경남기업의 사업지분을 인수했는데, 계약대로라면 투자금의 25%만 주고 지분을 받아야 했지만, 실제로는 투자금 100%가 지급됐습니다.

투자비를 대신 내준 것도 모자라 공사가 백억 넘는 손실을 떠안으면서 경남기업의 투자금을 보전해준 셈입니다.

이처럼, 경남기업이 투자금 조달을 못해 해외 자원개발 사업을 포기한 상황에서 이번에는 석유공사가 경남기업에 성공불융자금 330억 원을 지원합니다.

석유공사와 함께 추진한 러시아 캄차카 석유 광구 탐사를 위한 투자 명목이었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경남기업이 투자금을 조달 못해 사업에 실패한 상황에서 석유공사가 또 다른 융자를 준다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으로 보기 어렵다며, 공기업들에 대해 본격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경남기업 부실 경영의 민낯을 보여준 비리 수사에서 자원개발 추진 공기업으로 수사의 대상이 크게 확대된 것입니다.

해외 자원 개발 사업은 전 정권에서 야심차게 추진했던 정부 차원의 사업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수사의 판이 공기업으로까지 커지면서 전 정권 인사들의 이권 개입 등 각종 비리 의혹으로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YTN 이승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