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천안함 사건 5주기를 맞아 대북전단을 날려 보내려했던 탈북자 단체들이 당분간 살포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일단 북한의 반응을 보겠다는 건데, 전면 중단을 위해선 북한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등 전제 조건을 달았습니다.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천안함 침몰 5주기인 26일을 전후해 대규모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했던 탈북자단체들.
원래는 전단 50만 장과 김정은 암살을 다룬 영화, '더 인터뷰'의 DVD 5천 장을 북쪽으로 날려 보낼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앞서 북한이 내놓은 대북전단 비난 성명이 돌연 살포 중단을 결정하는 배경이 됐습니다.
타격수단을 동원하겠다는 등 강한 어조의 북측 성명에서, 도리어 북한이 얼마나 대북전단을 부담스러워하는지 알게 됐다는 겁니다.
탈북자단체들은 대북전단 살포 중단이 북한의 입장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수령 비판하는 영상물이라든지 이런 걸 엄청나게 두려워하기 때문에 이걸 만약에 안 보낸다면 혹시나 사과할 수 있지 않을까 천안함 폭침에 대해서. 그래서 양보하게 된 거죠."
당분간이 아닌 전면 살포 중단까지는 몇 가지 조건이 붙었습니다.
우선,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것.
그리고 다시는 천안함과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재발 방지 약속을 하라는 것입니다.
탈북자단체들은 곧 통일부 관계자를 만나 북한에 이같은 입장 전달을 건의할 계획입니다.
앞서 북한은 더 인터뷰의 DVD살포와 대북전단이 정치적 도발이자 사실상의 선전포고라며 무차별적인 타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해왔습니다.
지난해 10월에는 대북전단을 향해 실제로 발포해 인근 주민의 우려를 사기도 했던 북한이 이번엔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됩니다.
YTN 김경수[kimgs85@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천안함 사건 5주기를 맞아 대북전단을 날려 보내려했던 탈북자 단체들이 당분간 살포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일단 북한의 반응을 보겠다는 건데, 전면 중단을 위해선 북한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등 전제 조건을 달았습니다.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천안함 침몰 5주기인 26일을 전후해 대규모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했던 탈북자단체들.
원래는 전단 50만 장과 김정은 암살을 다룬 영화, '더 인터뷰'의 DVD 5천 장을 북쪽으로 날려 보낼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앞서 북한이 내놓은 대북전단 비난 성명이 돌연 살포 중단을 결정하는 배경이 됐습니다.
타격수단을 동원하겠다는 등 강한 어조의 북측 성명에서, 도리어 북한이 얼마나 대북전단을 부담스러워하는지 알게 됐다는 겁니다.
탈북자단체들은 대북전단 살포 중단이 북한의 입장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수령 비판하는 영상물이라든지 이런 걸 엄청나게 두려워하기 때문에 이걸 만약에 안 보낸다면 혹시나 사과할 수 있지 않을까 천안함 폭침에 대해서. 그래서 양보하게 된 거죠."
당분간이 아닌 전면 살포 중단까지는 몇 가지 조건이 붙었습니다.
우선,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것.
그리고 다시는 천안함과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재발 방지 약속을 하라는 것입니다.
탈북자단체들은 곧 통일부 관계자를 만나 북한에 이같은 입장 전달을 건의할 계획입니다.
앞서 북한은 더 인터뷰의 DVD살포와 대북전단이 정치적 도발이자 사실상의 선전포고라며 무차별적인 타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해왔습니다.
지난해 10월에는 대북전단을 향해 실제로 발포해 인근 주민의 우려를 사기도 했던 북한이 이번엔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됩니다.
YTN 김경수[kimgs85@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