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번호는 공공정보?...보안 불감증 '심각'

주민번호는 공공정보?...보안 불감증 '심각'

2015.02.22. 오전 00:0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민간은 물론 정부부처, 공공기관에서도 개인정보를 부실 관리해 유출 위험이 있다는 사실, YTN이 연속 보도해드렸는데요.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빈번하지만 여전히 보안에는 무신경한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가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김대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1억400만 건에 달하는 카드사 대량정보 유출 사건, 또 2천만 명의 고객 정보가 털린 KT 정보 유출 사건.

개인정보 유출 소식이 끊이지 않다보니 주민번호와 전화번호는 더 이상 개인정보가 아닌 공공정보라는 우스갯 소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무차별적인 정보 수집과 피싱 문자도 이제는 무덤덤하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인터뷰:김수정, 대구 봉무동]
"어쩔 수 없이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되니까 하긴 하는데 사실 개인정보 유출됐다는 얘기가 나오잖아요. 이미 유출됐으니까 이것도 쳐도 되겠지 하고 아무 생각 없이 똑같이 치게 되는 것 같아요."

[인터뷰:차주희,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사기 게임이나 거짓말로 택배 왔다는 문자가 너무 많이 와서 무시하게 돼요."

수많은 개인정보를 다루는 사이트들의 보안 불감증도 심각합니다.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보호하지 않은 채 유출 위험에 방치한 백화점 쇼핑몰과 항공사 등 민간 사이트들이 수두룩했고, 국민안전처·보건복지부 등 정부부처와 공공기관까지 보안 강화 노력을 게을리해온 사실이 YTN 취재 결과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이 같은 무관심은 결국 정보 유출과 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만듭니다.

정보를 무단 수집하거나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업체를 신고하는 개인의 적극적인 대응은 물론, 기업과 정부의 태도 변화도 중요합니다.

[인터뷰:이경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지금 당장 신고를 한다고 해서 신고하는 자에게 이익이 없습니다. '사이버 파파라치' 제도가 활성화되면 물론 사회적으로 비난을 받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사회적인 인식을 바꾸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고, 보안 사고의 최종 책임은 반드시 관계 기관장에게 물어야 됩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언젠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부를 수 있습니다.

제2, 제3의 정보 유출 대란을 막기 위한 사회적인 관심과 노력이 시급합니다.

YTN 김대근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프로그램 개편 기념 특별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