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고 신해철 씨의 사인을 둘러싸고 위 축소 수술을 했느냐 하지 않았으냐 말이 많았는데 의사협회는 위 축소 수술을 했다는 소견을 내 놨습니다.
또 심낭 천공에 대한 조치도 미흡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김기봉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그동안 신해철 씨를 수술한 S병원장은 위 축소 수술을 하지 않았다고 부인해 왔습니다.
하지만 의사협회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위 축소 수술의 일종인 위주름 성형 수술을 받았다는 겁니다.
이 수술은 환자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한 의료행위입니다.
[인터뷰:강신몽, 의협 의료감정위원장]
"위 용적을 줄이는 수술이 시행됐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첫째 스틸 영상에서 위 대만쪽 주름을 형성하는 사진과 위 대만쪽 혈관을 지혈한 사진이 확인됩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심낭 천공이 발생했고 수술 중 또는 수술 후에 소장 천공도 생겼다고 판단했습니다.
소장 천공 시기는 적어도 사망 일주일 전인 10월 20일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심낭과 소장의 천공 자체가 의료과실이라 단정하긴 어렵지만 심낭 천공에 대한 발견과 조치는 미흡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강신몽, 의협 의료감정위원장]
"심낭기종의 소견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심낭천공에 대한 발견과 이에 대한 조치가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복막염 진단을 위해 최소한의 진찰과 검사는 시행되었으나 입원을 유지하여 지속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부분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됐습니다."
신 씨는 결국 심낭천공으로 발생한 복막염과 심장을 둘러싼 막사이에 혈액이 고이면서 심장이 조여져 심장 기능이 떨어지는 심장압전으로 숨졌다고 의협은 결론 지었습니다.
신 씨의 의료감정조사위원회는 법의학과 흉부외과, 영상의학 등 9명의 전문가로 구성돼, 지난 9일 경찰로부터 감정의뢰를 접수받은 뒤 4차례 회의를 거쳐 이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YTN 김기봉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고 신해철 씨의 사인을 둘러싸고 위 축소 수술을 했느냐 하지 않았으냐 말이 많았는데 의사협회는 위 축소 수술을 했다는 소견을 내 놨습니다.
또 심낭 천공에 대한 조치도 미흡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김기봉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그동안 신해철 씨를 수술한 S병원장은 위 축소 수술을 하지 않았다고 부인해 왔습니다.
하지만 의사협회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위 축소 수술의 일종인 위주름 성형 수술을 받았다는 겁니다.
이 수술은 환자 또는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한 의료행위입니다.
[인터뷰:강신몽, 의협 의료감정위원장]
"위 용적을 줄이는 수술이 시행됐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첫째 스틸 영상에서 위 대만쪽 주름을 형성하는 사진과 위 대만쪽 혈관을 지혈한 사진이 확인됩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심낭 천공이 발생했고 수술 중 또는 수술 후에 소장 천공도 생겼다고 판단했습니다.
소장 천공 시기는 적어도 사망 일주일 전인 10월 20일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심낭과 소장의 천공 자체가 의료과실이라 단정하긴 어렵지만 심낭 천공에 대한 발견과 조치는 미흡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강신몽, 의협 의료감정위원장]
"심낭기종의 소견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심낭천공에 대한 발견과 이에 대한 조치가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복막염 진단을 위해 최소한의 진찰과 검사는 시행되었으나 입원을 유지하여 지속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부분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됐습니다."
신 씨는 결국 심낭천공으로 발생한 복막염과 심장을 둘러싼 막사이에 혈액이 고이면서 심장이 조여져 심장 기능이 떨어지는 심장압전으로 숨졌다고 의협은 결론 지었습니다.
신 씨의 의료감정조사위원회는 법의학과 흉부외과, 영상의학 등 9명의 전문가로 구성돼, 지난 9일 경찰로부터 감정의뢰를 접수받은 뒤 4차례 회의를 거쳐 이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YTN 김기봉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