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16명이 숨진 이번 행사 주최가 경기도와 성남시 주관은 이데일리로 기록되어 있는데요.
이데일리가 별도의 동의절차없이 경기도와 성남시를 주최명에 넣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조태현 기자!
조금전 분당구청에서 브리핑이 있었는데 내용 정리해 주시죠.
[기자]
이번 행사는 이데일리가 2억원예산으로 주최한 축제입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1천9백만 원 지급하기로 아직 지급하지 않아 이데일리가 양기관에 동의없이 주최자로 명칭을 사용했고 경기도를 주최자로 넣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데일로부터 주최자를 해달라는 주장이었습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지급하기로 한1960만원은 무대설치비를 지원하는 형태였다고 설명을 했는데요.
총 사업비의 10%도 안 되고 아직까지 지급하지도 않았다고 강조를 했습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에서는 이데일리와 지금까지 논의를 진행해 왔던 것 같았 파악되고 있습니다.
판교 테크노밸리를 홍보햐는 입장에서한 번 같이 사업을 해보자고 해서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일부지원하기로 했던 것으로 지금 사고대책본부는 파악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행사가 신고대상은 아니었다고요?
[기자]
이번 행사가 진행됐던 부지는 일반 광장으로 분류되어 있는 곳입니다.
성남시는 경관 광장은 사전에 허가를 받고 해야 되는데 일반 광장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례가 없어서 신고 사항이 아니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안전을 챙기지 않은 것이 아닐 경우 아니허가 사항이 아니라서 따로 허가를 받는 과정 자체가 밝었다는 겁니다.
현재 부상자 명단에 총 11명이 있습니다.
하지만 11명은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사망자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 못한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그 피해자와 유가족들에 대해서는 진료비와 장례비를 경기도와 성남시가 공동으로 지급보증하기로 했습니다.
이 사안에 대해서 책임을 떠나서 지자체가 안전을 위해서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최대한 할 수 있는 조치를 하겠다는 건데요.
일단 장례비는 1인당 3000만 원 그리고 치료비와 보상비는 피해자 요구를 최대한 받아들이는 쪽으로 지금까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경찰이 오전 8시쯤국과수와 연구관 등 5명이 현장을 찾아서 정밀감식을 진행했는데 경찰과 유기적으로 협조해서 조속한 원인규명에 나서겠다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YTN 조태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6명이 숨진 이번 행사 주최가 경기도와 성남시 주관은 이데일리로 기록되어 있는데요.
이데일리가 별도의 동의절차없이 경기도와 성남시를 주최명에 넣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조태현 기자!
조금전 분당구청에서 브리핑이 있었는데 내용 정리해 주시죠.
[기자]
이번 행사는 이데일리가 2억원예산으로 주최한 축제입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1천9백만 원 지급하기로 아직 지급하지 않아 이데일리가 양기관에 동의없이 주최자로 명칭을 사용했고 경기도를 주최자로 넣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데일로부터 주최자를 해달라는 주장이었습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지급하기로 한1960만원은 무대설치비를 지원하는 형태였다고 설명을 했는데요.
총 사업비의 10%도 안 되고 아직까지 지급하지도 않았다고 강조를 했습니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에서는 이데일리와 지금까지 논의를 진행해 왔던 것 같았 파악되고 있습니다.
판교 테크노밸리를 홍보햐는 입장에서한 번 같이 사업을 해보자고 해서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일부지원하기로 했던 것으로 지금 사고대책본부는 파악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행사가 신고대상은 아니었다고요?
[기자]
이번 행사가 진행됐던 부지는 일반 광장으로 분류되어 있는 곳입니다.
성남시는 경관 광장은 사전에 허가를 받고 해야 되는데 일반 광장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례가 없어서 신고 사항이 아니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안전을 챙기지 않은 것이 아닐 경우 아니허가 사항이 아니라서 따로 허가를 받는 과정 자체가 밝었다는 겁니다.
현재 부상자 명단에 총 11명이 있습니다.
하지만 11명은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사망자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 못한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그 피해자와 유가족들에 대해서는 진료비와 장례비를 경기도와 성남시가 공동으로 지급보증하기로 했습니다.
이 사안에 대해서 책임을 떠나서 지자체가 안전을 위해서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최대한 할 수 있는 조치를 하겠다는 건데요.
일단 장례비는 1인당 3000만 원 그리고 치료비와 보상비는 피해자 요구를 최대한 받아들이는 쪽으로 지금까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경찰이 오전 8시쯤국과수와 연구관 등 5명이 현장을 찾아서 정밀감식을 진행했는데 경찰과 유기적으로 협조해서 조속한 원인규명에 나서겠다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YTN 조태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