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규정도 없이..." 마구잡이 음폐수 처리

"법규정도 없이..." 마구잡이 음폐수 처리

2013.01.20. 오전 05:0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음식쓰레기의 80% 이상은 찌꺼기 물, 바로 음폐수인데요.

해양투기가 금지되자 음폐수는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 소각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고 있습니다.

음폐수 처리가 다급해진 정부가 명확한 법 규정에도 없는 일들을 벌이고 있습니다.

안윤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지자체에 나오는 음폐수는 하루 93톤.

이 가운데 50톤은 하수처리장으로, 25톤은 소각장으로 보내집니다.

환경적으로 문제가 없을까?

소각장 처리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방법입니다.

산업폐기물을 소각할 때 나오는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원래 쓰던 화학약품 대신 성분이 비슷한 음폐수를 쓴다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다이옥신 등 또 다른 유해물질이 나오는지 여부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제대로 된 관리 기준도 없는 상태에서 정부는 다음 달쯤 유해성 여부에 대한 정밀검증을 할 예정입니다.

[인터뷰:홍수열, 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소각장이나 공공처리장에 반입되는 폐수가 정말 폐수만 들어가는 것이냐, 아니면 음식물쓰레기를 폐수에 섞어 내보내느냐, 이 부분에 대한 통제가 잘 안 된다는 것이고..."

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방식도 미덥지 않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유입되는 일반 하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BOD는 150피피엠 전후인데 비해 음폐수의 BOD는 무려 10만을 훌쩍 넘습니다.

서울시는 전 처리과정을 통해 BOD를 3만까지 낮춘 음폐수만 하수처리장에서 받아서 처리하도록 했지만 이 역시 BOD 수치가 매우 높고 임시방편에 불과합니다.

[인터뷰:환경부 관계자]
"하수처리장에 새로 들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요. 불가피하게 조금씩 나오는 음폐수는 분뇨하고 합쳐 그 정도 받으라고 지침을 만들어놓은 것인데, 지금 비상시국이니까 그런 것인데..."

음폐수 해양투기가 막히자 지방자치단체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전에 바다에 버렸던 음폐수의 절반가량은 이처럼 하수종말처리장이나 소각장 등으로 보내 처리하고 있지만 명확한 법 규정조차 마련돼있지 않습니다.

이미 2008년부터 음폐수 처리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정부가 그동안 손을 놓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경협,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3년 정도의 준비 기간이 있었는데 환경부든 지자체든 이 부분에 대해 준비를 안 해 온 게 오늘의 사태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일단 오는 3월까지 음폐수 특별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불법 투기 등을 단속한다는 방침이지만, 정부가 허용한 처리 방법조차 검증된 적이 없기 때문에 2차 환경오염이 발생하지는 않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YTN 안윤학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