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신한은행이 이명박 대통령 취임 직전,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을 통해 거액의 당선 축하금을 건넸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돈을 배달했다는 당사자가 돈의 행방을 증언하고 나선 건데, 검찰은 의혹만으로는 수사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권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신한은행 수뇌부의 횡령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빼돌려진 비자금 3억 원의 행방을 추적했습니다.
당시 이백순 전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이 3억 원을 누군가에게 건넨 사실이 드러났지만 돈을 받은 인물은 끝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당시 비자금 전달을 도왔던 직원이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신한은행 본부장 박 모 씨는 2008년 2월 중순,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 지시라며, 이 전 부사장이 3억 원을 준비하라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비자금 통장을 관리하던 박 씨는 3억 원을 가방에 담아, 동료 송 모 씨와 함께 남산자유센터 주차장으로 향했고, 그 자리에서 이 전 부사장이 만난 40대 남성의 차량 트렁크에 3억 원을 실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이 신한은행 횡령 사건을 수사하자 은행 간부 이 모 씨가 찾아와 돈의 행방을 함구하라고 요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돈은 SD, 즉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에게 간 것이니 입을 다물라며 각서까지 강요했다는 겁니다.
박 씨는 이 돈이 이명박 대통령 취임 직전 전달돼, 당선축하금으로 짐작했다고 말했습니다.
검찰은 그러나, 이같은 의혹에 대해 2010년에도 수사를 벌였지만, 자금 추적이 불가능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직접 목격담이 아닌, 전해들은 내용이어서 재수사의 단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저축은행 로비자금의 대선자금 사용 의혹에 이어, 당선축하금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이상득 전 의원 등 대통령 측근에 대한 수사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질 전망입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신한은행이 이명박 대통령 취임 직전,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을 통해 거액의 당선 축하금을 건넸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돈을 배달했다는 당사자가 돈의 행방을 증언하고 나선 건데, 검찰은 의혹만으로는 수사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권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신한은행 수뇌부의 횡령 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빼돌려진 비자금 3억 원의 행방을 추적했습니다.
당시 이백순 전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이 3억 원을 누군가에게 건넨 사실이 드러났지만 돈을 받은 인물은 끝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당시 비자금 전달을 도왔던 직원이 새로운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신한은행 본부장 박 모 씨는 2008년 2월 중순,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 지시라며, 이 전 부사장이 3억 원을 준비하라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비자금 통장을 관리하던 박 씨는 3억 원을 가방에 담아, 동료 송 모 씨와 함께 남산자유센터 주차장으로 향했고, 그 자리에서 이 전 부사장이 만난 40대 남성의 차량 트렁크에 3억 원을 실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검찰이 신한은행 횡령 사건을 수사하자 은행 간부 이 모 씨가 찾아와 돈의 행방을 함구하라고 요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돈은 SD, 즉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에게 간 것이니 입을 다물라며 각서까지 강요했다는 겁니다.
박 씨는 이 돈이 이명박 대통령 취임 직전 전달돼, 당선축하금으로 짐작했다고 말했습니다.
검찰은 그러나, 이같은 의혹에 대해 2010년에도 수사를 벌였지만, 자금 추적이 불가능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직접 목격담이 아닌, 전해들은 내용이어서 재수사의 단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저축은행 로비자금의 대선자금 사용 의혹에 이어, 당선축하금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이상득 전 의원 등 대통령 측근에 대한 수사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질 전망입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