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우리 나라에서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하던 통일호 열차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고속철도가 등장하면서 역사 속에 묻히는 통일호 열차의 마지막 운행 모습을 이정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1955년 8월15일 조국의 통일을 기원하며 등장한 통일호 열차,반세기 동안 한반도 곳곳을 누볐던 통일호 열차가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일제시대인 1899년 우리 나라 최초 열차인 ’모갈1호’가 등장한 뒤 해방이후 1946년 ’조선해방자호’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통일호’는 한국 철도사상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열차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통일호’이름으로 운행되는 열차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승엽 통일호 열차 승무원]
"서운하죠. 가장 정들었던 이름의 열차입니다."
전국에서 운행되는 통일호 열차는 모두 252개 열차, 대부분이 내구연한 21년을 넘긴 노후 객차들로 이중 130개 열차가 폐차되고 나머지는 무궁화호로 승격돼 운행됩니다.
마지막으로 운행되는 통일호 열차를 타고 가는 승객들도 만감이 교차합니다.
서민들의 애환을 그대로 싣고 달렸던 열차가 사라지기 때문에 아쉬움은 더합니다.
[인터뷰:통일호 열차 승객]
"아쉽죠.서민들을 위해서는 정말 필요했던 열차가 없으니 너무 서운해요."
[인터뷰:통일호 열차 승객]
"서민들의 삶을 그대로 담았던 열차가 아쉬워요."
서민과 함께 생활하고 학생과 직장인들의 통학.통근 열차로 인기를 끌었던 통일호 열차, 앞으로는 ’도시통근형 동차’와 ’무궁화호’ 열차가 통학.통근 열차의 역할을 대신하게 됩니다.
[인터뷰:윤인균 철도청 일반사업철도본부장]
"통일호가 없어지지만 고속철도와 연계한 철도망을 구축해 불편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나라 철도역사상 등장한 열차이름은 모두 30개, 이 가운데 최장의 역사를 자랑하던 통일호 열차가 시속 300㎞를 달리는 KTX 한국고속철도 등장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우리 나라에서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하던 통일호 열차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고속철도가 등장하면서 역사 속에 묻히는 통일호 열차의 마지막 운행 모습을 이정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리포트]
1955년 8월15일 조국의 통일을 기원하며 등장한 통일호 열차,반세기 동안 한반도 곳곳을 누볐던 통일호 열차가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일제시대인 1899년 우리 나라 최초 열차인 ’모갈1호’가 등장한 뒤 해방이후 1946년 ’조선해방자호’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통일호’는 한국 철도사상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열차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통일호’이름으로 운행되는 열차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승엽 통일호 열차 승무원]
"서운하죠. 가장 정들었던 이름의 열차입니다."
전국에서 운행되는 통일호 열차는 모두 252개 열차, 대부분이 내구연한 21년을 넘긴 노후 객차들로 이중 130개 열차가 폐차되고 나머지는 무궁화호로 승격돼 운행됩니다.
마지막으로 운행되는 통일호 열차를 타고 가는 승객들도 만감이 교차합니다.
서민들의 애환을 그대로 싣고 달렸던 열차가 사라지기 때문에 아쉬움은 더합니다.
[인터뷰:통일호 열차 승객]
"아쉽죠.서민들을 위해서는 정말 필요했던 열차가 없으니 너무 서운해요."
[인터뷰:통일호 열차 승객]
"서민들의 삶을 그대로 담았던 열차가 아쉬워요."
서민과 함께 생활하고 학생과 직장인들의 통학.통근 열차로 인기를 끌었던 통일호 열차, 앞으로는 ’도시통근형 동차’와 ’무궁화호’ 열차가 통학.통근 열차의 역할을 대신하게 됩니다.
[인터뷰:윤인균 철도청 일반사업철도본부장]
"통일호가 없어지지만 고속철도와 연계한 철도망을 구축해 불편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나라 철도역사상 등장한 열차이름은 모두 30개, 이 가운데 최장의 역사를 자랑하던 통일호 열차가 시속 300㎞를 달리는 KTX 한국고속철도 등장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